검색결과
  • 운보 김기창 화백 세계화필기행

    우리는 유럽에서 아프리카로 건너가기 전 모기에 물려도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도록 미리 몇알의 키니네를 먹었다. 불볕더위에 대비, 반바지도 사고 구멍이 숭숭 뚫린 가벼운 신발도 샀다.

    중앙일보

    1982.01.13 00:00

  • 일본의 의리와 자살

    일본에서는 큼직한 사건이 더질때마다 거의 예외없이 한두명의 자살자가 생긴다. 5년전의 록히드사전, 작년의 와세다(조도전) 대학부정입시사건, 그리고 금년에 터진「다니아이」(곡합극항)

    중앙일보

    1981.07.22 00:00

  • 아이디어 상품

    ▲초음파 전자 모기 퇴치기=1.5V의 건전지를 사용, 만년필 뚜껑처럼 휴대할 수 있어 야외용으로도 적합하다. 산란기에만 동물의 피를 빠는 암 모기가 수 모기를 피하는 성질을 이용하

    중앙일보

    1981.07.04 00:00

  • 김형영 씨의 시『우리들의 하늘』

    김형영 씨가 79년에 쓴 시「이 몸 바람 되어』의 한 귀절이다. 김씨는 도봉산의 가파른 등성이를 힘찬 걸음으로 등반할만한 건강이 못 되었다. 그는 지금도「면역복합체에 의한 골수모

    중앙일보

    1981.05.27 00:00

  • 계절 알리는 동·식물이 차츰 사라지고 있다

    개구리·종달새·반딧불·벚나무 등 예로부터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던 동·식물 등이 우리 주변에서 차차 자취를 감춰가고 있다. 철 따라 각종 식물이 싹트고, 꽃피고, 결실하고, 낙엽 지

    중앙일보

    1981.03.28 00:00

  • 한강물 공업용수로도 부적

    서울지역의 한강본류가 많이 오염돼 이곳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로는 지렁이와 잠자리류 2종밖에 나타나지 않는 등 한강의 환경보전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고려대

    중앙일보

    1981.03.17 00:00

  • (68)일본뇌염은 4~10세 어린이에 다발 손근찬(국립의료원·소아과)⑥

    매년 여름철이 되면 일본뇌염의 유행이 찾아오고 환자의 대다수가 어린이이며 일단 이병에 걸리면 예후가 나쁘므로 어린이를 가진 부모에게는 큰 걱정이 되고있다. 일본뇌염은 「빨간집 모기

    중앙일보

    1980.06.02 00:00

  • 「전염병발생예보제」실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전염병 발생예보제」가 실시된다. 이 예보제는 환자발생이 많고 치사율이 높은 뇌염·「인플루엔저」(유행성독감)·「디프테리아」· 소아마비등 4개전염병이 언제, 어

    중앙일보

    1980.02.21 00:00

  • "양털 자급"의 꿈이 자란다|남원 운봉목장

    전북남원군운봉면 해발 5백m이상 고랭지 6백98ha에 자리잡고 있는 운봉목장. 지리산기슭인 이곳에 양모의 자급화를 위한 면양산업의 꿈이 무르익고 있다. 아직 국내수요의 0.1%에

    중앙일보

    1979.01.05 00:00

  • 미국 어린이 도서에 새 경향|미래를 그린 책 부쩍늘어

    『어린 시절에는 모든 책들이 미래를 이야기해주는 예지의 책』이라고 영국작가 「그레이엄·그린」이 말한바 있지만 확실히 어린이의 책들은 자연이나 도덕의 세계에 대한 어린이들의 관념을

    중앙일보

    1978.12.05 00:00

  • 간염연구로「노벨」상 탄 「블럼버그」박사

    간염B 「바이러스」의 발견과 그 예방에 대한 업적으로 76년도 「노벨」 의학상을 받은 간염의 세계적 권위, 「바루크·S·블럼버그」 박사 (53·미「필라델피아」 임상 연구소 부소장)

    중앙일보

    1978.09.05 00:00

  • 아파트 시장 공장 등 청소상태 일제점검

    서울시는 14일 청소상태가 불량한 시장·「아파트」·공장 등을 전염병 예방법을 발동, 고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14일부터 서울시 본청 및 구청직원을 동원, 시내 모든「아

    중앙일보

    1978.08.14 00:00

  • 세균 이렇게 발견했다|김병각|3백주 맞아 살펴본「레이번후크」의 업적

    지구상에 동·식물이 존재한 것은 수십억년 전으로 처음부터 인간은 동·식물의 존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부터 존재했던 세균은 겨우 3백년 전에「아마추어」생물

    중앙일보

    1976.10.04 00:00

  • 서울대의대 풍토병연구소주민들의 돌팔매질도 받는 현장연구|서울대의대 풍토병 연구소

    우리 나라에서 흔한 기생충이라면 회충·요충·간「디스토마」·폐「디스토마」·십이지장충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어떤 지역의 물리적·화학적요인과 사회경제적인 복합요인에 의해 그 고장에

    중앙일보

    1976.03.04 00:00

  • (24)거대한 연꽃

    강물은 유유히 흐르고 있다. 자연적으로 쓰러진 고목들이 강으로 떠내려가기도 한다. 하류로 향하여 내려갈수록 강폭이 자꾸 넓어지는데 강가의「정글」은 더욱 우거져 있다. 원시적일 만큼

    중앙일보

    1974.03.29 00:00

  • 세 우주인 「59일 체공」 시작

    【휴스턴 우주 본부 29일 AP급전합동】인류 사상 최장인 59일간의 우주 실험을 실시할 미국의 「스카이·랩」 2진 우주인 「앨런·빈」 「재크·루즈머」 및 「오웬·개리어트」 등 3인

    중앙일보

    1973.07.30 00:00

  • 북경을 다녀와서- 나순옥-첫 중공방문 한국인 나순옥 여사의 수기

    북경을 다녀왔다. 24일 동안의 관광여행을 마치고 우리 일행이 「홍콩」에 무사히 도착했을 때까지 나의 흥분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았다. 왜 그러냐하면 나는 어디까지나 한국인으로서 지

    중앙일보

    1973.06.26 00:00

  • 인구와 식량(상)

    인도나 「아프리카」 서해안제국의 대한발, 「뱅글라데쉬」나 미국 「미시시피」강의 대홍수, 작년에 이은 전지구적인 이상기상으로 일부에서는 굶주림이 속출, 식량문제가 다시금 「클로스업」

    중앙일보

    1973.06.05 00:00

  • (358)운봉 면양목장 양모자급에의 꿈을 키운다

    인간과 가장 가깝고 인간생활에 가장 크게 기여한 동물은 양일지도 모른다. 털은 의복으로, 가죽은 장식용, 고기는 식용, 그밖의 모든 것은 퇴비로 이용되어 하나도 버릴 것이 없다.

    중앙일보

    1973.05.19 00:00

  • (907)뇌염모기의 정체

    한국에는 40여종의 모기가 있다. 이중에서 제일 무서운 것이 뇌염모기이다. 학명으로는「큘렉스·트리테니오링쿠스」라는 길고 어려운 이름을 갖고 있으며 셋째로 많은 모기에 속한다. 이

    중앙일보

    1971.07.10 00:00

  • 뇌염엔 명약이 없다

    연례적으로 장마가 끝나면 고개를 드는 뇌염은 올 여름 들어 벌써 뇌염모기가 서울에서 발견됨으로써 본격적인 발생을 예보하고있다. 뇌염은 보통 장마가 끝나는 7월말에서부터 늦게는 10

    중앙일보

    1971.07.08 00:00

  • (3)생활환경개선

    날씨가 풀리면 방역기 동반의 차량들이 거리를 누비며 소독약을 뿌리는 모습을 흔히 본다. 이같은 방역작업은 물론 파리 등 유해동물을 죽이는데 목적이 있다. 페스트균을 옮기는 쥐, 일

    중앙일보

    1971.03.17 00:00

  • 어머니의 숙제…방학생활

    국민학교의 여름방학이 금주 안에 모두 시작되어 8월 31일까지 계속된다. 중학교 입시도 없어졌고 숙제도 방학책 이외엔 별 부담이 없을 이번 방학은 어린이들에겐 신나는 여름 휴가가

    중앙일보

    1970.07.24 00:00

  • 피서용품

    금년도 예상 피서객은 약1백만명. 장마가 걷힌다는 25일을 전후해서부터 8월 중순까지 물을 찾아 나설 이들 피서객들이 건강과 품위를 지키기 위해 갖춰야할 피서용품을 알아본다. ▲수

    중앙일보

    1970.07.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