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50)유격전(19)「타이거」여단

    1·4후퇴 때 곧「유엔」군이 다시 진격해 오리라고 믿고 향토에서 그대로 버티던 황해도연백지방의 학도의용대·청년방위군·치안대·특공대·소년 대 등은 51년 2월부터 공산군 주력부대가

    중앙일보

    1972.07.14 00:00

  • (349)유격전(18)|안 악 부대

    6·25때 황해도는「유엔」군의 북진으로 공산군이 쫓기면서 자행한 반공인사들에 대한 학살과 또한 이 무렵에 반공청년들의 공산분자들에 대한 처단을 합해 전 도민의 1할 정도가 죽은 이

    중앙일보

    1972.07.12 00:00

  • (348)|유격전(17)|백호부대(1)

    8군사령관 밴플리트 대장이 유엔군 총사령부에 보낸 작전보고에서 『백령도의 동키부대는 현재 미정친군 1개 사단에 맞먹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와 같이 서해안 유격부대들의

    중앙일보

    1972.07.10 00:00

  • (346) 유격전⑮ - 백마부대(1)

    평안북도 정주군 일대의 반공 청년들을 중심으로 편성됐던 유격 백마부대는 북위 40도선에 가까운 대화도·애도·단도·암도등을 거점으로하여 철산반도 연안의 섬들을 방어하며 「게릴라」전을

    중앙일보

    1972.07.06 00:00

  • (345)|유격전(14)|옹진학도대(2)|창린도서 백병전 적 백20명 생포

    옹진학도 유격대는 10여명 단위의 공작대를 통해 귀순공작과 산발적이 게릴라전을 전개하는 한편 때로는 전대원이 출동해 적과 대대규모의 정규전투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들 순수한 학생들

    중앙일보

    1972.07.04 00:00

  • (343)유격전(12)

    (3) 타 지역부대와 합류해 병력이 8개 연대의 2천6백여명에다 1천4백여정의 무기를 보유한 웅도의 구월산부대는 서해안 유격부대 중 최강의 부대였다(주=유격대 편대는 1개 연대 병

    중앙일보

    1972.06.28 00:00

  • (342)유격전(11)

    (2) 중공군 개입으로 유엔군이 임진강선까지 후퇴하자 그동안 구월산에 잠입, 준동하던 괴뢰군 1개 연대 병력은 장련·은율·안악·신천·송화·장연 등지를 차례로 기습해 왔다. 이 지역

    중앙일보

    1972.06.27 00:00

  • 시민 「사이카」 방범순찰대 69명으로 발대-동부서

    시민 「사이카」 방범순찰대가 처음으로 16일 상오 11시 서울 동부 경찰서에서 발대했다. 「사이카」를 갖고 있는 홍성선씨 (36·서울 성동구 성수 l가 13) 등 69명의 시민들이

    중앙일보

    1972.06.16 00:00

  • (338)Y부대(7)|「6·25」21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유격대(7)

    대부분의 Y부대 지상유격부대들이 분산 월동 중 적의 추격에 참패하고 말았으나 함경북도 설령지구에 들어갔던 관모봉부대는 무사히 월동을 마치고 52년 봄 춘계작전을 벌였다. 붉은 피로

    중앙일보

    1972.06.16 00:00

  • (337)유격전⑥

    Y부대 유격용사들은 51년11월부터는 모든 작전을 중지하고 월동에 들어갔다. 역단위로 편성됐던 혼성부대들은 월동을 위해 7∼10명씩의 지구대로 분산해 연고지로 들어갔다. 혹한의 추

    중앙일보

    1972.06.14 00:00

  • (336)유격전(5)|Y부대(5)

    동해안 전역에 침투한 Y부대 유격용사들은 10월에도 월동준비를 하면서 계속 치열한 작전을 벌였다. 각 부대의 전과는 전문을 통해 영도본부에서 확인한 것들인데 무전불통이나 작전중 부

    중앙일보

    1972.06.12 00:00

  • (333)-Y부대(2)유격전(2)

    훈련을 마친 대원들은 출동의 날을 하루를 삼추 같이 기다렸다. 1951년4월29일 문천·안변·경성·회양 지구에 공작대원 1백4명이 침투해 들어감으로써 Y부대는 첫 출동을 개시했다.

    중앙일보

    1972.06.05 00:00

  • 70평생 첫 단식에 건강양호

    「김종필내각」이 출범한지 만 1년이 되는3일 김 총리는 여느 때처럼 중앙청에서 집무, 상오 미 상원사법소위임원인 「디·마틴」씨와 문철순 주「카메룬」대사 등을 접견했다. 김 총리는

    중앙일보

    1972.06.03 00:00

  • 조국광복에 바친 젊음-고 이범석 장군의 일생

    청산리 싸움의 용장 철기 이범석 장군이 파란 많은 일생을 마쳤다. 1900년 서울에서 태어나 올해 72세. 한반도를 둘러싼 외세침략의 풍운이 사납던 때 태어났던 이범석 장군은 19

    중앙일보

    1972.05.11 00:00

  • (318)-하늘의 전쟁(9)

    (1) 1951년10월11일부터 53년7월27일에 휴전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한국 공군의 출격 작전은 거의 강릉 기지에서 감행되었다. 10월l일에 사천에 본부를 둔 제1전투 비행단의

    중앙일보

    1972.04.24 00:00

  • 조 의원 등장으로 경쟁 주춤

    을지연습은 15일 중앙청의 공습경보로「피크」를 장식. 상오10시 북괴기의 공습경보가 울리자 중앙청의 모든 직원은 지하실로 줄지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다. 불과 3분 사이에 청

    중앙일보

    1972.04.15 00:00

  • 인천항 제1도크 관리권 인수받아

    【인천】인천항 제l 도크 인수식이 20일 상오 10시 미8군 부평지구 공병대장 플렉 소장과 국방부 관계관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항 제1부두에서 있었다. 인천항 제1 도크는 지난 51

    중앙일보

    1972.03.21 00:00

  • 매케인, 유 국방 방문

    미 태평양 지구 총사령관 「존·S·매케인」 제독과 동 지구 육군 사령관 「윌리엄·B·라슨」 대장은 7일 하오 1시30분 유재흥 국방부 장관을 방문, 한·미 공동 관심사를 논의했다.

    중앙일보

    1972.02.07 00:00

  • (276)적의 춘계공세(5)

    전회에 이어 국군 제5사단과 그 우측에 인접한 제7사단의 전투상황을 살펴보겠다. 앞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중공군은 춘계공세 때 중부와 중동부에 주공을 두었기 때문에 이 방면에 배치

    중앙일보

    1972.01.12 00:00

  • 현대인은 과학인

    원자력 원자력이라면 원자폭탄만을 연상하는 사람이 꽤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지금은 원자력 평화이용이 거의 절정에 도달한 느낌을 줄 정도로 각분야에서 눈부신 업적을 내고 있다. 원

    중앙일보

    1972.01.01 00:00

  • (271)거 창 사건(12)|후유증

    거창 사건은 군 재 결심과 함께 공식적으로는 일단 마무리됐지만 현지에서의 후유증은 심각했다. 정부는 주민처형의 책임을 물어 군 관련자를 처벌했지만 거창군 신원 면에 묻힌 「시한폭탄

    중앙일보

    1971.12.27 00:00

  • (263)|거창사건(4)|건벽청야 작전(4)|「6·25」21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전쟁3년

    당시의 제11사단 9연대 3대대가「청야」작명에 따라 거창군 신원면에 진주했을 때 가장 화를 많이 입은 곳이 대현리·와룡리·중유리, 그리고 덕산리의 청연부락이었다. 현지에서 유가족과

    중앙일보

    1971.12.07 00:00

  • 주월미군 개편계획 착수

    【사이공3일 AP동화】「멜빈·레어드」미 국방장관은 3일 이곳에서 주월 미군의 결정적인 대폭 철수계획과 주월 미군사령부 및 사령관을 점차적으로 폐지시켜 「크레이튼·에이브럼즈」대장을

    중앙일보

    1971.11.04 00:00

  • (248)국민 방위군 사건(7)|고등군법회의(1)

    국민방위군 간부들의 부정사건에 관한 재심은 국회 특조위의 세밀한 진상규명과 빗발치는 세론으로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우선 이 재심을 가로막는 방위군 간부들의 정치적 배경이

    중앙일보

    1971.11.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