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로제타 '2관왕'…사이언스, '올해 과학성과' 첫 손 꼽아

    유럽우주국(ESA) 탐사선 로제타의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이하 67P)’ 혜성 랑데부가 올해 세계 과학계 최대 성과로 꼽혔다. 저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Science)’

    중앙일보

    2014.12.19 04:00

  • [젊어진 수요일] 청춘리포트 - 수능 수석 45인 추적해 보니

    [젊어진 수요일] 청춘리포트 - 수능 수석 45인 추적해 보니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올해로 스물한 살이 됐습니다. 1994학년도 대입에 처음 도입돼 지난달 13일 치른 2015학년도 수능까지 모두 23차례의 시험을 치렀습니다. 첫 시험을 본 9

    중앙일보

    2014.12.03 01:31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꿈을 현실로 만드는 곳, DARPA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꿈을 현실로 만드는 곳, DARPA

    이철재 기자미국의 할리우드를 ‘꿈의 공장’이라고 하죠. 할리우드 영화 속 상상의 세계는 꿈으로만 그치지 않고 현실이 되기도 합니다. 이곳을 거치면 말이죠. 바로 방위고등연구계획국(

    중앙일보

    2014.11.13 00:02

  • [J Report] 중국이 한국을 추격한다? 중관춘을 가보라

    [J Report] 중국이 한국을 추격한다? 중관춘을 가보라

    중관춘의 대표적 창업 인큐베이터 ‘촹신궁창(創新工長)’은 업무공간뿐 아니라 법무·재무·홍보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성공 가능성이 큰 벤처에는 투자도 한다. 입주기업 2만여 개.

    중앙일보

    2014.09.17 00:02

  • 축구 로봇이 공 차자 “와아” 탄성 … 옆차 움직임 감지하는 운전 로봇도

    축구 로봇이 공 차자 “와아” 탄성 … 옆차 움직임 감지하는 운전 로봇도

    8일 열린 ‘테크플러스(tech+) 2012’에서 대니얼 리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스스로 공을 차는 로봇 ‘다윈OP’를 소개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한국 사람이 축구를 제일

    중앙일보

    2012.11.09 00:20

  • 터치·음성 넘어 뇌 속에 칩 이식 생각만으로 전화 걸고 문자까지

    터치·음성 넘어 뇌 속에 칩 이식 생각만으로 전화 걸고 문자까지

    휴대전화가 ‘똑똑한 정보 단말기’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큰 목소리로 음성통화를 하는 것은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 얘기다. 요즘엔 길거리나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영화·드라마

    온라인 중앙일보

    2012.10.21 02:59

  • 터치·음성 넘어 뇌 속에 칩 이식 생각만으로 전화 걸고 문자까지

    터치·음성 넘어 뇌 속에 칩 이식 생각만으로 전화 걸고 문자까지

    언제 어디서든 혼자서도 온 세상과 소통하는 세상이다. 5명 중 3명이 ‘손 안의 PC’로 불리는 스마트폰을 들고다닌다. 미래의 모바일 단말기는 더욱 인간 친화적으로 진화할 전망이

    중앙선데이

    2012.10.21 01:39

  • [BOOK] MS의 두뇌였던 폴 앨런, 그가 꿈꾸는 미래는 …

    [BOOK] MS의 두뇌였던 폴 앨런, 그가 꿈꾸는 미래는 …

    마이크로소프트의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사진 오른쪽)와 폴 앨런. 고교 동창인 두 사람이 콤비를 이뤄마이크로소프트는 비약적 성공을 거둔다. 82년 ‘시애틀 타임스’ 특집에 실린

    중앙일보

    2011.08.13 00:27

  • [가봤습니다] 송보명기자의 하버드·MIT 탐방

    [가봤습니다] 송보명기자의 하버드·MIT 탐방

    지난달 23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미국 역사의 시발점인 동시에 세계 최고수준의 대학인 하버드와 MIT(매사추세츠공대)가 있어 더욱 전통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의

    중앙일보

    2010.09.01 00:24

  • [인 호의 컴퓨터 이야기] 냄새 맡는 컴퓨터

    [인 호의 컴퓨터 이야기] 냄새 맡는 컴퓨터

    프랑스 최고의 요리사를 꿈꾸는 ‘레미’. 그는 뜨거운 열정과 절대미각, 그리고 누구보다 뛰어난 후각의 소유자다. 하지만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주방의 적’ 생쥐라는 것

    중앙선데이

    2008.03.23 02:24

  • 디즈니·픽사·MS 등 그들에게 'SOS'

    디즈니·픽사·MS 등 그들에게 'SOS'

    가상 도서관 시스템인 39벤저민 프랭클린의 유령39. 질문을 입력하면 프랭클린의 모습이 화면에 나타나 직접 답한다. 이규연 기자 전통적인 철강도시에서 첨단 과학도시로 변신 중인

    중앙선데이

    2008.01.06 00:34

  • 문화기술(CT) 개발 경쟁 5개국 르포

    문화기술(CT) 개발 경쟁 5개국 르포

    일본 ICC에서 전시 중인 ‘드리프트 넷’. 한 관람객이 3면으로 된 대형 스크린 속에 들어가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내려받은 데이터들을 팔로 움직이고 있다. 몸동작에 따라 다른 사

    중앙선데이

    2008.01.05 23:24

  • 죽은 사람도 살리는 첨단 의학

    빌 본다르는 자신이 ‘사망’한 장소를 정확히 안다. 은퇴자들이 모여 사는 미 뉴저지주 남부의 한 동네에 있는 자신의 집 앞 보도였다. 5월 23일 수요일 밤 10시 30분. 당시

    중앙일보

    2007.11.15 13:24

  • 아이디어 쏟아진 인텔 국제과학경진대회

    아이디어 쏟아진 인텔 국제과학경진대회

    ▶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대전과학고 홍성진군.▶ 엔진을 밑으로 장착한 생명보호 차량.▶ 마우스 커서를 인간의 눈동자로 움직이는 시스템.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인텔 국제과

    중앙일보

    2004.05.19 18:11

  •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휠체어 개발

    사지마비 환자가 오로지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시대가 곧 올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과학전문지 뉴 사이언티스트는 사용자의 생각에 따라 움직이고 방향을 바꿀 수

    중앙일보

    2003.07.26 10:15

  • 간질 예방 초소형 뇌이식 장치

    뇌에 이식해 간질 발작 징후를 사전에 파악,발작을 막을 수 있는 초소형 장치가 독일에서 개발돼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25일 dpa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독

    중앙일보

    2002.11.27 14:39

  • 휴먼 로봇 첨단 기술전쟁 [1]

    한국 휴먼 로봇의 대반격이 시작됐다. 선봉은 ‘아미’가 맡았다. 적수는 휴먼 로봇 기술의 ‘최고봉’ 일본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양현승(46) 박사팀은 최근 한국의 첫 휴

    중앙일보

    2001.05.16 16:08

  • 국내 최고수준 휴먼로봇 `아미(AMI)' 개발

    인간의 외모에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시각인식 및감정표현능력까지 갖춘 휴먼로봇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원장 최덕인) 전산학과 양현승(梁玄承)교수 연구

    중앙일보

    2001.04.30 13:51

  • 사상 최초 인공뇌 '신경컴퓨터' 개발

    러시아 과학자들이 인간과 맞먹는 지능을 가진 인공뇌인 ''신경컴퓨터''를 사상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러시아의 인테르팍스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이 지능컴퓨터는 러시아 국제정보과학원의

    중앙일보

    2001.04.16 16:29

  • 사상 최초 인공뇌 '신경컴퓨터' 개발

    러시아 과학자들이 인간과 맞먹는 지능을 가진 인공뇌인 '신경컴퓨터'를 사상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러시아의 인테르팍스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이 지능컴퓨터는 러시아 국제정보과학원의 비

    중앙일보

    2001.04.16 08:42

  • 재미과학자 뇌모방 전자회로 개발

    재미 물리학자 매사추세츠공대(MIT) 승현준(34.미국명 H.Sebastian Seung) 교수가 `생각하는 컴퓨터''의 기초가 되는 뇌활동을 모방한 전자회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중앙일보

    2000.06.22 15:14

  • 두뇌 신경활동 모방 컴퓨터프로그램 최초 개발

    미국에서 활동중인 교포 과학자 2명이 사람이 사물이나 문장 등을 파악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의 작용을 그대로 모방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최초로 개발, 세계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

    중앙일보

    1999.10.29 14:16

  • 신경망컴퓨터 연구 신동필 박사(앞서뛰는 사람들:5)

    ◎꿈의 「인공지능」 손에 잡힌다/작년에 거미수준까지 개발/23년 외길 걸으며 선진국과 경쟁 과기처산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시스팀공학연구소 연구부장 신동필 박사(47)는 68년

    중앙일보

    1992.01.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