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중 온도 강수량 동결심도|분포도를 처음 작성

    우리 나라 전역의 난방설계용 지중 온도와 동결심도 분포도 및 강수량 분포도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작성되었다. 한국물리학회의 우재식 박사 (49·한국원자력 연구소환경부장·기장 환경학)

    중앙일보

    1979.01.25 00:00

  • 낙동강하구 보호조|밀렵행위엄단

    치안본부는 20일 최근 낙동강하구와 경남창원군동면 등지에서 청둥오리·백조 등의 조수류 남획행위가 밀렵꾼들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어 밀렵용의지역 순찰을 강화하고 밀렵자는 조수류보호 및

    중앙일보

    1979.01.20 00:00

  • 낙동강에 분뇨 버려

    【부산】부산지검 김승년 검사는 11일 낙동강하구에 분뇨를 버린 부산시위생처리장관리소장 주일중씨(49)등 공무원 3명과 태광공사(분뇨수송하도급 선박회사) 사장 장태련씨(33·부산시서

    중앙일보

    1979.01.11 00:00

  • TBC대하극 『해오라기』방영 (1∼3일)

    TBC-TV는 새해를 여는 의욕적인 첫「테마·드라머」로 이상현극본의 전3부작(총4 시간) 『해오라기』를 1일부터 3일까지 매일밤 8시에 방영한다. 『해오라기』는 낙동강하구의 조그만

    중앙일보

    1978.12.29 00:00

  • 낙동강에 보름이나 빨리 찾아온 겨울철새

    철새 도래지인 낙동강 하구에 30일 백조·청둥오리 등 겨울철새들이 떼지어 날아 와올 들어 첫 날개를 폈다(사진). 예년보다 보름 가량 빨리 날아온 겨울철새들은 백조 3백 쌍, 청둥

    중앙일보

    1978.10.31 00:00

  • 낙동강 하구 지도가 달라졌다

    【부산】낙동강하구일대 삼각주의 지형이 지난 60여 년 동안 크게 바뀌어 부산시가 4차례나 지도를 고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부산 구포중학교 이재아 교사(25·여)의『낙

    중앙일보

    1978.08.12 00:00

  • 공해가 「선점」한 철새낙원

    【부산=유원우기자】 문화재보호구역이며 우리나라 최대의 수조류 (수조류) 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 일대가 공해에 찌들어 이곳을 찾는 철새가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최근 부산시문화재과

    중앙일보

    1978.03.20 00:00

  • 낙등강하구에 도요새떼

    천연기념물보호구역인 낙동강하구 철새도래지 을숙도(천연기념물 179호) 에「알락꼬리마도요」 1천여마리를 비롯, 노랑발도요·중부리도요·삑삑도요등 도요새 무리 10여종이 예년보다 20일

    중앙일보

    1976.08.17 00:00

  • 병신 새아침의 서기싣고 하늘을 가르는 백조의 비상

    병신새해 새아침이 밝았다. 도발의 먹구름, 시련의 자옥한 안개를 헤치며 이아침 해는 또 다시 붉게 타올랐다. 낙동강하구 여명(여명)의 언덕배기에서 홰를 치며 하늘을 향하는 백조들의

    중앙일보

    1976.01.01 00:00

  • 낙동강 하구서 발견된 홍학은 창경원서 달아난 것인가

    지난 26일 낙동강 하류에서 발견된 홍학이 71년11월 창경원에서 방사도중 날아간 것일지도 모른다는 추정과 외지에서 날아와 야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등 조류학계의 의견이 엇갈려

    중앙일보

    1975.01.31 00:00

  • 낙동강 하구에 희귀조 쇠백로

    【부산】 우리나라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에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쇠백로가 집단으로 나타나 조류학계의 관심을 모으고있다. 부산시내 동아고등학교철새조사반(반장 한춘길·52)은

    중앙일보

    1974.04.18 00:00

  • 세계희귀조「저어새」발견|낙동강 하구에서 세마리

    세계적인 희귀조로 알려진 저어새(천연기념물「205호)3마리가 낙동강 하구인 금부군오지리앞 대마섬과 장자섬 사이 물가에서 발견됐다. 철새도래지 실태조사를 위해 지난10일 낙동강하구

    중앙일보

    1973.06.14 00:00

  • 철강·화학·비철금속·기계·조선·전자 등 6개 부문을 선도산업으로

    정부는 산업구조 개편과 고도화를 시도하고 80년대 초의 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중화학공업 계획을 마련, 24일 발표했다. 이 계획은 철강·화학·비철금속·기계·조선·전자 등 6개 부문

    중앙일보

    1973.05.24 00:00

  • 낙동강하류 겨울철새 보호작전

    [부산] 부산시는 천연기념물 179호로 지정된 낙동강 겨울철새가 독약이나 총포류에 의해 마구 잡혀 멸종위기에 있다고 들고 관할 구청과 경찰 합동으로 단속반을 짜 철새보호작전을 펴고

    중앙일보

    1972.11.29 00:00

  • (312)백조남획 낙동강하구 철새가 줄어든다

    은백의 병풍처럼 푸른 물결위로 수많은 백조들이 날아오른다. 한겨울 차가운 수면을 튀기며 유영하는 백조의 모습은 북국의 어느 눈부신 설원보다도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를 일깨운다. 누가

    중앙일보

    1972.01.12 00:00

  • 장마·가뭄 악순환-한국

    이조의 석학 정다산은 『천택(하천)은 천리에 따른 것인즉 이를 잘 이용하면 덕을 볼 것이고 잘못하면 큰 화를 입는 법』(목민심서)이라 했다. 옛날 동리싸움의 으뜸이 물싸움일 만큼

    중앙일보

    1968.06.06 00:00

  • (2)남풍에 돛을 돌리고 북상하는 화신

    봄바람이 낙동강하구에 살포시 올라섰다. 낙동강 봄줄기가 바다와 맞부딪치는곳. 하단 나루터에 나룻배가 띄워지고 강건너 갈대밭에 봄나들이 가는 두소녀-. 첫손님이 들었다. 뱃사공 최국

    중앙일보

    1968.02.27 00:00

  • 광역용수계획

    건설부는 광역용수계획을 새로 마련하여 수계 별로 경인마진 낙동강하구 및 진삼지구 등 수자원을 집중 개발함으로써 공업·농업용수 및 식수를 광역수노로 통합 계열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중앙일보

    1967.11.28 00:00

  • (4)항도 실격-부산(하)

    항구 없는 부산은 없고 해수욕장 없는 해운대는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부산시는 관광지를 망쳐버릴 계획을 꾸미면서도 항구 또한 살리는 것에도 신경을 쓰지 못하고있다. 「제1신 부산」

    중앙일보

    1966.04.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