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9)극락조와 향료의 고장 몰루카 제도|김찬삼 여행기 인니서 제20신

    슬라베시섬에 사흘 머문뒤 여객기로 뉴기니아섬의 서반인 서이리안으로 향하였다. 여객기라고 하건만 화물을 주로 싣는지 승객보다도 화물이 더 많았다. 슬라베시섬 동쪽끝을 지나니 몰루카제

    중앙일보

    1970.06.05 00:00

  • (38)방갈로로 둘러싸인 카잔간섬|김찬삼 여행기(인니서 제19신)

    셀레베스란 옛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술라베시섬. 섬의 서남단에 있는 마카사르는 인구 40만의 항구도시로서 정치·경제·교육의 중심지이며 육-해-공군의 기지가있는 군인도시이기도하다. 말

    중앙일보

    1970.06.03 00:00

  • 세계의 나그네(36)-김찬삼 여행기|신앙과 관능의 「발리」여성

    「발리」섬에는 뇌살시킬만한 관능적인 반나체의 무희의 춤과 달콤한 「가메란」음악이 있는가하면 딴섬들에 비겨 자연미가 유독 아름답다. 지상천국이 따로있는것이 아니다. 이 섬이 바로 그

    중앙일보

    1970.05.28 00:00

  • (35) 춤과 전설의 섬 발리|김찬삼 여행기

    자바 섬의 이야기는 많이 했으니 간주곡으로 춤과 전설의 섬 발리 이야기로 옮겨볼까. 아름다운 「에머럴드·그린」의 바다에 둘러싸인 이 자그만 발리 섬은 이슬람교인이 나라의 단 하나밖

    중앙일보

    1970.05.26 00:00

  • (30)김찬삼 여행기|화산 밑의 피서지…「반둥」고원

    「보고르」식물원의 오만가지 식물들에서 받은 황홀감을 간직한 채 기차를 타고 다음 목적지인「반둥」으로 떠났다. 편히 쉬지도 못하고 총총걸음으로 쏘다녀야하는 이 강행군!이란 소월의 시

    중앙일보

    1970.05.12 00:00

  • (29)김찬삼 여행기|「에덴」에의 향수부른「보고르」식물원

    수리관계로 입장 금지된 세계최대의「보고르」식물원에 관람자라곤 특별교섭으로 들어간 나밖엔 없으니 무인도와도 같이 쓸쓸했다. 그러나 진기한 가지가지 열대식물이 다채롭게 어우러져 있고,

    중앙일보

    1970.05.09 00:00

  • (28)김찬삼 여행기|천둥속의 무서운「스콜」

    「자카르타」에서 며칠을 보낸 다음 유명한 열대식물원이 있는「보고르」로 향하였다. 「버스」를 타고「자카르타」시가를 빠져나가 아름다운 자연속을 얼마쯤 달리고 있을 때였다. 먹구름이 덮

    중앙일보

    1970.05.07 00:00

  • (27)김찬삼 여행기|「자카르타」의 관능무드

    「자카르타」시에 들어서니 무슨 축제나 향연이 벌어진 것처럼 사람들이 들끓었다. 이 나라의 인구는 1억1천5백만으로서 이 서울에만도 몇백만의 시민이 살고있기 때문이다.「레이스」며 그

    중앙일보

    1970.05.04 00:00

  • (26)김찬삼 여행기|화산도에의 짝사랑「수마트라」에서「자바」로

    「수마트라」섬의「팔렘방」에서 다음 여행지인「자바」섬으로 건너가기 위하여 기차를 타고 도선장이 있다는「판장」이란 곳으로 갔다. 열대의 아침바다는 정말 상쾌하기 그지없었다. 기차시간

    중앙일보

    1970.05.02 00:00

  • (25)밀림의 환영축제 원시무도

    이국인을 무척 환대해 주는 그 50대의 시골사람과 나는 친해지긴 했으나 무명씨로 통했다. 말이 전혀 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도 마침「팔렘방」까지 가는 길이라「버스」에 함께 탄

    중앙일보

    1970.05.01 00:00

  • (24)뜨거운 2등선실의 신혼부부|김찬삼 여행기

    「파당」에서 잠깐 여독을 푼뒤 육로로 서해안을 따라「벤쿨루」로 내려가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이 지역은 지금 우기여서 도로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마지못해 선

    중앙일보

    1970.04.29 00:00

  • (23)한기에 떤 적도의 새벽|김찬삼 여행기

    「스콜」로 말끔히 씻긴 적도의 하늘이며 숲은 이루말 할 수 없이 신선하며 무구하였다. 그리고 이「수마트라」서해안 쪽에 있는 인도양의 바닷물의 빛깔은「사파이어」처럼 맑았다. 눈부신

    중앙일보

    1970.04.28 00:00

  • (22)동양의「스위스」「수마트라」피서지|김찬삼 여행기

    크나큰 친절을 베풀어준 그「인도네시아」여성과 헤어진 뒤 나는 고마움을 느끼며「버스」의 차창을 통하여 전원 풍경을 내다 보았다.「메단」과「페당」사이의 이 도로는 이나 라 유일의 횡단

    중앙일보

    1970.04.25 00:00

  • (21)|"무책임 버스"에서의 기연

    메단 시가는 한때 식민지 자들이 있던 곳이어서 네덜란드 식 백색건물들이 늘어서 있고 포장도 잘 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인의 거리는 어수선하고 또한 원주민의 거리는 도로의 폭만이

    중앙일보

    1970.04.24 00:00

  • (2) 주머니를 여는 「키」...「서비스」

    외국 관광객들에게 경복궁이나 창덕궁의 구경은 불편할 때가 많다고 한다. 안내 책자도 제대로 없을뿐더러 그나마 안내판에서 영문의 설명이 자세히 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친절한 「서비

    중앙일보

    1970.04.11 00:00

  • (19)김찬삼 여행기

    「세브」섬을 떠난 배는 징검다리가 되는 여러 섬들을 거쳐 「마닐라」항을 향하고 있다. 남북 종단 여행을 하는 20일 동안 모기며 그 밖의 물 것에 많이 물려 퉁퉁 붓기도 했고 숲속

    중앙일보

    1970.03.17 00:00

  • (18)「마젤란」의 발자취를 더듬어|김찬삼 여행기

    적도에서 가까운 「다바오」에서 다시「마닐라」로 돌아가는 데는 물론 딴 「코스」를 밟았다. 이번「필리핀」종단 여행은 여러 섬의 내륙도 깊숙히 다니긴 했지만 행해도 많았다. 바다를 다

    중앙일보

    1970.03.12 00:00

  • (17)「삼보앙가」섬의 정열 여족|김찬삼 기행기

    「민다나오」섬의 서쪽 끝에 있는 「삼보앙가」는 날씨가 온화하고 공기가 맑으며 쪽빛을 띤 바닷물이 유독 아름다왔다. 더구나 남쪽 나라의 눈부신 햇빛이 비치니 저 유명한 「미뇽」의『그

    중앙일보

    1970.03.10 00:00

  • 해적의 후예 「모로」족|김찬삼 여행기.....

    별빛이 찬란히 비치는 화물선 갑판위의 하룻밤은 정서가 넘쳐 흐르는 서민적인 사교장이기도했다. 다음날 「민다나오」 섬 서안의 「코타바토」에 기항했는데 이곳에도 화교가 많아보였다. 「

    중앙일보

    1970.03.07 00:00

  • (15)열대의 밤바다…선상사육제|바다의 [귀부인] 무인도와는 실련

    토사들의 원시적인 배나 다름없는 [반카]를 타고 [사마르] 섬에서 [레이티] 섬에 건너올 때도 온통 물벼락을 맞아야했다. 이 [반카]란 통나무 배 같은 작은 [보트]로서 양쪽에 굵

    중앙일보

    1970.03.05 00:00

  • (14)다도해…「바사야스」제도

    원주민인 젊은 부부의 보금자리라 할 오막살이집에서 하룻밤 쉬고는「마욘」화산으로 향했다. 북쪽 산기슭으로 해서 산 중턱에 있는「마욘」화산 관측소로 올라갔다. 소장이 한국사람이라고 반

    중앙일보

    1970.03.03 00:00

  • (12)루손 조 맨발의 처녀들|김찬삼 여행기…

    「마닐라」역을 떠난 급행 열차는「루손」섬 남쪽 끝의 종착역「레가스피」를 향하여 일사천리로 달렸다. 차창은「스크린」처럼 바꿔는 가지가지 아름다운 풍경화를 보여주는 그림들. 열대의 푸

    중앙일보

    1970.02.26 00:00

  • (11)김찬삼 여행기

    작렬하는 열대의 태양 아래서 보름 동안이나 쉴 사이 없이 쏘다녔더니 나의 얼굴은 온통「필리핀」사람처럼 갈색으로 그을었다. 여러 격전지에선 20세기의 전쟁 서사시를 읊조리고, 열대림

    중앙일보

    1970.02.21 00:00

  • (10)|김찬삼 여행기…(필리핀에서)|>환락으로 지새는 「마닐라」의 밤

    「코레히도르」요새 굴속에서 홀로 간결한 위령제를 올리고 나왔으나 왜 그런지 마음이 개운치가 않았다. 필경 무명 용사일 그 해골의 주인공을 위하여 안식처를 마련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1970.02.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