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Family/교육] 초등학교 토론수업, 논리력 쑥…창의력 쑥

    [Family/교육] 초등학교 토론수업, 논리력 쑥…창의력 쑥

    ▶ 서울 아주초등학교 4학년 3반 학생들이 반반으로 나뉘어 주어진 주제에 대해 찬반 토론을 벌이고 있다. 오종택 기자 서울 아주초등학교는 그야말로 '말 많은 학교'다. 학급마다 토

    중앙일보

    2004.11.21 17:41

  • [책동네] 책 구입 고객에 화장품 선물 外

    *** 책 구입 고객에 화장품 선물 반디앤루니스(대표이사 김천식)는 독서의 계절 가을을 맞아 ‘마음은 풍요롭게, 피부는 건강하게’라는 주제로 한불화장품 ESCADA(에스까다)와 공

    중앙일보

    2004.09.18 09:45

  • [해외출판] 교양인이 되기 위한 즐거운 글쓰기

    교양인이 되기 위한 즐거운 글쓰기 루츠 폰 베르더·바바라 슐테 슈나이니케 지음 김동희 옮김, 들녘, 311쪽, 1만3000원 처음 글쓰기를 가르칠 때 몹시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중앙일보

    2004.09.11 10:38

  • [NIE]"매일 첫 수업은 신문읽기로"

    [NIE]"매일 첫 수업은 신문읽기로"

    ▶ 변권훈 교장 첫교시를 알리는 수업종과 함께 교실에 들어선 순간 신문잉크 냄새가 난다. 학생들은 저마다 책상에 신문을 펼치고 관심이 가는 기사를 찾느라 손놀림이 분주하다. 잠시

    중앙일보

    2004.08.30 17:06

  • [week& cover story] 꿈을 이룬 사람들

    [week& cover story] 꿈을 이룬 사람들

    *** 청양 문화체험학교 성 욱 교장 ▶ 부부는 닮는다고 했던가. 고추를 바구니 가득 담아 머리 위에 얹으려는 성욱 교장(左)과 아내 박영숙씨 사이에 도타운 정이 오간다. 성 교장

    중앙일보

    2004.08.05 15:20

  • 삼성경제硏, 軍에 지식복지 시스템

    간부 군인들과 이들의 가족이 지식과 문화 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군인공제회는 29일 삼성경제연구소와 '신개념 지식복지시스템(M-kiss)' 구축을 위

    중앙일보

    2004.07.29 18:09

  • [NIE 교실] NIE의 교육적 효과

    신문에는 매일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정보가 실린다. 개별 정보는 한 분야의 지식을 전달하는 내용이거나 여러 분야에 걸쳐 서로 연관성을 갖기도 한다. 특정 사안에 대한 평가와 문제

    중앙일보

    2004.06.28 17:30

  • [We Start] "얼쑤~" 工團 아이들에 희망가

    [We Start] "얼쑤~" 工團 아이들에 희망가

    ▶ 황선업씨가 아이들에게 장구 치는 법을 가르치고 있다. [대전=김방현 기자] "덩더 덩더쿵, 얼쑤~." 지난 11일 오후 5시쯤 대전시 대화동 대전1.2공단 내 공부방 '씨알(민

    중앙일보

    2004.06.14 18:06

  • [We Start] "대학생 형·언니들과 과외공부 신나요"

    "머리카락 보인다. 꼭꼭 숨어라." 4일 오후 3시쯤 전북 전주시 금암동 동사무소 2층 강당. 초등생 10여명이 대학생 형.언니들과 함께 신나게 술래잡기를 하고 있다. 한참 뒤 형

    중앙일보

    2004.06.04 18:45

  • "언더우드家 여성들도 개척자였다"

    "언더우드家 여성들도 개척자였다"

    ▶ 언더우드 4세 원한광 박사한국 사람들은 언더우드가(家)를 생각할 때 새문안교회와 연세대를 세운 선교사들을 떠올린다. 우리 가문이 한국에서 종교와 교육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앙일보

    2004.05.14 06:07

  • [틴틴] 디지털에 빠진 10대 책세상에 초대해 볼까

    [틴틴] 디지털에 빠진 10대 책세상에 초대해 볼까

    우리나라에는 청소년 도서 전문 필자가 드문 편이고 청소년 도서의 선택을 돕는 매체도 다양하지 못하다. 청소년들이 제공해줄 수 있는 폭넓은 지식과 감성의 세계에 연착륙하지 못하고

    중앙일보

    2004.04.16 17:15

  • [새해를 연다] "전자칠판 해외시장 뚫는다"

    "올해를 해외시장 개척의 원년으로 만들겠어요." 모니터형 전자칠판을 생산하는 ㈜모든넷(대구 남구 대명동)의 신순희(43)대표는 요즘 어느 때보다 바쁘다. 다음달 초 성서첨단산업단지

    중앙일보

    2004.01.26 20:55

  • "지식보다 나눔·섬김이 중요하죠"

    '학교가 삶터이고 삶터가 곧 학교'. 사교육 열풍 속에 한갖진 산골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일종의 대안학교가 내년 4월 10년 간의 준비 끝에 상설학교로 문을 연다. 충북 영동군

    중앙일보

    2003.11.25 20:30

  • "도서관은 이제 복합 문화공간"

    "도서관은 이제 지역사회의 복합 문화공간이자 평생 교육기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문화관광부의 2003 전국 문화기반시설 평가에서 공공도서관 부분 최우수상을 차지한 대구 효

    중앙일보

    2003.11.20 20:45

  • [기고] 헬싱키 NIE 대회를 다녀와서

    신문에 담긴 여러 교과서적 요소를 아울러 통합교과형 교육 자료를 만드는 일에 매달린 지 10년째, 나는 우리나라 교육 실정에 맞는 NIE 모습이 늘 궁금했다. 답을 찾기 위해 지난

    중앙일보

    2003.09.22 17:10

  • [문화계 소식] 기독교실업인회 전국대회 外

    ****기독교실업인회 전국대회 제 30차 한국기독교실업인회(회장 김창송,성원교역 회장) 전국대회가 18일 오후 3시 강원도 평창군 보광피닉스파크에서 열린다. 20일까지 계속되는 이

    중앙일보

    2003.08.17 19:02

  • [호남·제주 뉴스 포커스] 4월 15일

    *** 문화 마당 프랑스 영화 3편을 상영 한다. 15일 오후 4시부터 조선대 서석홀에서 ‘아멜리에’를 보여 준다. 지난해 프랑스에서만 8백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고, 프랑스 최

    중앙일보

    2003.04.14 19:16

  • [생각 뉴스] 사라진 카뮈의 고통

    알베르 카뮈는 외쳤다 글쓰기는 고통의 연속이라고. 그러나 고통이 사라진 시대 그 고통의 시작도 끝도 증발된 세상. 청년실업자 30여만명 한 자리를 놓고 수백명이 다투는 취업 격투장

    중앙일보

    2003.04.10 18:02

  • [키즈정신건강] 집과 학원만 오가는 아이

    '월~금 매일 두시간반씩 영어 학원 집중 코스, 수.금 오전 9시 학교 방과후 특기적성 교실 컴퓨터 수업, 월.수.금 학기 중에 다니던 영어학원 1시간씩, 화.목 운동 및 글쓰기

    중앙일보

    2003.01.02 18:54

  • [정신건강] 집과 학원만 오가는 아이

    '월~금 매일 두시간반씩 영어 학원 집중 코스, 수.금 오전 9시 학교 방과후 특기적성 교실 컴퓨터 수업, 월.수.금 학기 중에 다니던 영어학원 1시간씩, 화.목 운동 및 글쓰기

    중앙일보

    2003.01.02 16:52

  • [사도대상 초등부 김용원 목포 신흥초 교장]"학생들엔 칭찬·정성이 최고"

    제1회 한국 사도대상에서 초등부문 대상의 영예를 안은 목포 신흥초등학교 김용원(金鎔源·61·사진)교장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정보화'와 '독서'를 강조해왔다. 교사·학생·학부모가

    중앙일보

    2002.11.11 00:00

  • 책꽂이

    ◇부동산학원론(조주현 지음, 건국대학교출판부, 2만2천원)=환란 이후 개방화·정보화가 진행되고 있는 부동산시장 흐름에 따라 부동산 투자·개발·정책에 관한 의사결정과 시장분석에 비

    중앙일보

    2002.11.09 00:00

  • 9.거창 샛별초등교-주중식 교장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을 교사·학부모·학생이 함께 찾아 가는 게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경남 거창 샛별초등학교 주중식(周中植·50·사진)교장의 교육관은 소박했다. 그는 "학부모

    중앙일보

    2002.05.08 00:00

  • 아이들이 불쌍하다 : 초·중·고 도서관은'책창고'전락

    일본 국회는 지난해 12월 '어린이의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및 도서 정비 예산으로 올해부터 5년간 매년 1백30억엔, 즉 총 6천5백억

    중앙일보

    2002.03.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