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처음 밟아본 평양 땅, 세번 놀랐다

    처음 밟아보는 평양 땅에서 3번 놀랐다. 첫째는 생각보다 거리와 건물이 깨끗해서 놀랐고 둘째는 북한 사람들이 친절해서 놀랐다. 셋째는 같은 언어로 얘기함에도 서로의 인식의 차이가

    중앙일보

    2007.10.06 10:36

  • [시론] 남북 정상회담을 보고

    노무현 대통령이 2007 남북 정상선언이라는 보따리를 들고 돌아왔다. 선언문의 내용을 두고 파격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NLL 이남 지역의 공동 어로수역 가능성을 던

    중앙일보

    2007.10.04 20:54

  • 정상회담·각료회의 제도화 길 여나

    정상회담·각료회의 제도화 길 여나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분단 시대 남북한의 어느 정권도 통일 문제를 언급하지 않은 정권이 없었다. 통일과 관련한 수많은 제안·합의들도 지난 50여 년간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중앙선데이

    2007.09.30 01:42

  • [중앙시평] 정상회담, 6·15선언 2항 구체화해야

    북측 수해 문제로 2차 남북 정상회담이 연기된 것은 아쉽지만 성공적 회담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이는 유리할 수도 있다. 의제 설정을 포함해 정상회담을 비교적 차분히 준비할 수 있는

    중앙일보

    2007.08.26 20:38

  • 이수훈 동북아시대위원장이 보는 남북 정상회담

    이수훈 동북아시대위원장이 보는 남북 정상회담

    신동연 기자 -정상회담을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대선 쪽으로 회담이 다가간 것은 북한의 수해 때문이다. 10월 초로 정해진 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 일

    중앙선데이

    2007.08.26 01:44

  • 교육부총리 1호 한완상 대한적십자사 총재 인터뷰

    교육부총리 1호 한완상 대한적십자사 총재 인터뷰

    한완상 전 교육부총리는 김영삼ㆍ김대중ㆍ노무현 대통령 모두와 인연이 깊다.김영삼 정부의 통일부총리,김대중 정부의 교육부총리였고,지금은 대한적십자사 총재다. 그는 26일 인터뷰에서

    중앙일보

    2007.07.07 15:36

  • 이명박·박근혜 '대북 퍼주기 안된다' 한목소리

    검증 공방으로 전면전을 벌이고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이명박 후보가 오랜만에 한 목소리를 냈다. 19일 대전 평송 청소년 수련원에서 열린 한나라당 외교.안보 분야 정책토론회 자리에서

    중앙일보

    2007.06.19 16:34

  • 한나라당 정책토론회 기조연설 전문

    19일 오후 대전에서 한나라당 통일외교안보분야 정책토론회가 열린다. 다음은 각 후보별 기조연설문 전문. 이명박 후보 통일외교안보 기조연설 평화가 우선입니다! 저는 젊은 시절부터 온

    중앙일보

    2007.06.19 13:48

  • 원희룡·고진화, 한나라 경선 등록

    원희룡·고진화, 한나라 경선 등록

    "내게 다음은 없어 이번에 바꾸겠다" 한나라당 원희룡 후보가 12일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맨주먹으로 기적을 일군 산업화 세대에게 배우며 피 뿌려 이 땅의 민주화를

    중앙일보

    2007.06.13 04:24

  • 홍준표 "'한나라당 집단 몽환' 깨기위해 출마"

    "1년 3개월만에 당사에 오는 것 같습니다.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 제가 나가고자 합니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이 27일 오전 서울 염창동 한나라당 당사에서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중앙일보

    2007.05.27 12:00

  • 《로동신문》,《조선인민군》,《청년전위》공동사설

    다음은 북한이 1일 노동신문, 조선인민군, 청년전위 3개 신문에 게재한 공동사설 전문이다. 《승리의 신심드높이 선군조선의 일대 전성기를 열어나가자》 희망찬 새해를 맞이한 조국강산에

    중앙일보

    2007.01.03 10:42

  • [비판적책읽기] '통일=선' 감상주의 파멸 불러

    [비판적책읽기] '통일=선' 감상주의 파멸 불러

    통일은 없다 남주홍 지음 랜덤하우스중앙 276쪽, 1만5000원 통일은 해야 하는가.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북한은 우리가 껴안아야할 파트너인가 아니면 끊임없이 경계해야할 '

    중앙일보

    2006.04.14 20:39

  • [21세기 동북아 미래포럼 전문모음]

    사회: 길정우 중앙일보 전략기획담당 이사 사회: 한마디로 남북문제, 통일문제에 대해 학창 시절부터 지금까지 오직 그길 만 걸어와. 세종연구소 연구원, 통일부, 국방부 정책 자문위원

    중앙일보

    2006.04.09 19:56

  • [BOOK기획] 민족주의·탈민족주의는 결국 '공범' 관계?

    [BOOK기획] 민족주의·탈민족주의는 결국 '공범' 관계?

    민족주의 문제를 둘러싼 한국 사회의 특징은 진보 진영이 민족주의 깃발을 앞세운다는 점입니다. 세계화 영향 탓인지 뉴라이트 등 보수 진영은 외려 깃발을 접을 때라고 말합니다. 민족

    중앙일보

    2006.03.17 21:28

  • [노트북을열며] 전략적 유연성 논란 그만두자

    1953년 10월 1일 워싱턴. 한.미 간에 조약이 만들어진다. 변영태 한국 외무장관과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 미 국무장관이 서명한 '한.미상호방위

    중앙일보

    2006.02.07 20:48

  • [시론] 참여정부 외교, 정상회담 성과 잇기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위해 사상 최초로 주변 4강의 수반이 한국에 모이고, 한국 대통령이 중.미.일.러 정상들과 연쇄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있다. 이런 모습

    중앙일보

    2005.11.18 20:57

  • [21세기 동북아 미래포럼 전문 모음]

    [제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3월 31일] [제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4월 25일] [제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7월

    중앙일보

    2005.11.07 11:08

  • [백학순, 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 평가]

    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5년 6월 21일부터 24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은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이후 5년 동안 남북 사이에 이룩된 성과를 평가하고,

    중앙일보

    2005.06.30 11:41

  • [‘동북아 균형론’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다음은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주최 '급변하는 동북아 정새와 한국의 진로 모색'을 주제로 한 세미나 토론내용입니다. 1. 동북아 균형자론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2005년 초,

    중앙일보

    2005.05.13 17:07

  • [동북아 균형자론]

    다음은 2005년 5월 11일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주최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와 한국의 진로 모색'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신정현 경희대 교수가 발표한 '동북아 균형자론'의 전

    중앙일보

    2005.05.13 16:51

  • [긴급대담] '동북아 균형자론' 실현될까

    [긴급대담] '동북아 균형자론' 실현될까

    ▶ 이철기 교수-동국대·국제관계학(왼쪽)“한·미 동맹 일변도 벗어날 때 중국·러시아 적절히 활용해야”▶ 김기정 교수-연세대·정치학(오른쪽)“외교 다변화 시도는 시기상조 구체적 방법

    중앙일보

    2005.04.15 05:31

  • 여야, 경제·국민통합 다짐한 단배식

    여야가 1일 각각 신년인사회를 가졌다. 모두 새해에는 경제활성화와 국민통합을 이루자는 다짐의 자리였다. 국민에 희망을 주는 정치를 하겠다는 의지를 다진 것이다. 소수 야당은 하나같

    중앙일보

    2005.01.01 12:09

  • 남북정상회담과 북한의 전략

    Ⅰ. 남북정상회담의 의의와 한반도 정세 변화 1. 1차 남북정상회담의 역사적 의의 6.15 남북공동선언 이전의 남북한은 ‘적대적 의존관계’라는 틀 속에서 서로 상대방의 위협을 강조

    중앙일보

    2004.12.24 15:40

  • [정동영 통일부장관 북경대 연설문]

    존경하는 OOO 총장님과 교수 여러분 OOO를 비롯한 귀빈 여러분 그리고 중국의 미래인 베이징 대학교 학생여러분 반갑습니다. 따뜻한 환영에 감사드립니다. 중국 최고의 인재들이 모인

    중앙일보

    2004.12.24 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