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파란눈의 어의에게 고종은 비단옷을 내렸다

    파란눈의 어의에게 고종은 비단옷을 내렸다

    한국 근대의학의 아버지 H N 알렌(1858~1932). 선교사이자 미국공사관 소속 의사였던 그는 1884년 갑신정변 당시 칼에 맞은 민영익을 외과수술로 살려냈다. 그 일을 계기로

    중앙일보

    2010.04.09 01:08

  • Special Knowledge 모자의 나라, 조선

    Special Knowledge 모자의 나라, 조선

    조선은 ‘모자의 나라’로 불렸다. 계절·신분·성별 등에 따라 온갖 꼴의 모자를 갖춘 조선 특유의 ‘쓰개 문화’ 덕분이다. 100여 년 전 조선을 방문했던 미국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

    중앙일보

    2010.04.01 08:28

  • 임금이 남의 손에 몸을 맡길 때 외세는 조선 땅을 삼키고 있었다

    임금이 남의 손에 몸을 맡길 때 외세는 조선 땅을 삼키고 있었다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서울 정동의 옛 러시아공사관 전망대 남쪽 창문을 통해 내려다본 서울시 모습. 덕수궁에서 남산에 이르는 시내가 한눈에 보인다. 내부의 벽돌

    중앙선데이

    2010.02.08 10:42

  • 임금이 남의 손에 몸을 맡길 때 외세는 조선 땅을 삼키고 있었다

    임금이 남의 손에 몸을 맡길 때 외세는 조선 땅을 삼키고 있었다

    서울 정동의 옛 러시아공사관 전망대 남쪽 창문을 통해 내려다본 서울시 모습. 덕수궁에서 남산에 이르는 시내가 한눈에 보인다. 내부의 벽돌 교체 등 2년에 걸친 보수공사를 마치고

    중앙선데이

    2010.02.06 22:48

  • “광화문 북쪽은 중세, 남쪽은 현대 … 세계서 드문 대비”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광화문의 역사와 복원을 다루는 다큐멘터리가 영국 찰스 왕세자 자선재단의 지원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2007년 촬영을 시작한 이 다큐는 내년

    중앙선데이

    2009.12.14 14:59

  • “광화문 북쪽은 중세, 남쪽은 현대 … 세계서 드문 대비”

    “광화문 북쪽은 중세, 남쪽은 현대 … 세계서 드문 대비”

    광화문 복원은 현재 돌로 쌓은 육축 위에 나무로 만든 문루까지 진척돼있다. 아래 작은 사진은 2007년 복원에 쓰일 금강송을 베면서 치러진 행사, 지난달 27일 열린 상량식, 그

    중앙선데이

    2009.12.13 03:20

  • 경복궁 궁중 조회, 창덕궁 왕세자 교육 보러오세요

    경복궁 궁중 조회, 창덕궁 왕세자 교육 보러오세요

    경복궁을 찾은 외국인 관람객들이 영어해설을 듣고 있다. 지난달 28일 모습이다.1 오른쪽 위는 창덕궁 후원의 부용지.2 그 아래는 2007년 복원된 경복궁 건청궁3과 올 8월 물

    중앙선데이

    2009.10.02 01:01

  • Special Knowledge 왕실 인장의 세계

    Special Knowledge 왕실 인장의 세계

    지난달 31일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고종이 비밀리에 사용했던 ‘황제어새(皇帝御璽)’를 보물(제1618호)로 지정했다. 한 장의 문서 원본과 몇 장의 사진 속 외교친서에만 흔적을

    중앙일보

    2009.09.10 00:08

  • 숙종 곁엔 인현왕후 먼발치엔 장희빈묘

    숙종 곁엔 인현왕후 먼발치엔 장희빈묘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지역에 자리한 목릉. 세 개의 언덕에 각각 자리한 14대 선조.의인왕후.인목왕후의 봉분이 하나의 능을 이룬다. 동원이

    중앙선데이

    2009.07.07 14:09

  • 숙종 곁엔 인현왕후 먼발치엔 장희빈묘

    숙종 곁엔 인현왕후 먼발치엔 장희빈묘

    ①왕은 27대인데 왕릉은 왜 40기인가왕과 왕비의 무덤이 능(陵)이다. 왕세자·왕세자빈·사친(종실로 왕위에 오른 왕의 친부모) 등의 무덤은 원(園)으로 불린다. 그 밖의 왕족 무

    중앙선데이

    2009.07.05 05:23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대한민국 장수 기업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대한민국 장수 기업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년 이상된 기업은 41개국에 걸쳐 5586개다. 이 중 대부분은 아시아와 유럽에 집중돼 있다. 아시아가 3214개(57.5%), 유럽이 2345개(42%)

    중앙일보

    2009.04.07 00:03

  • 아버지 영조에 죽임당한 비운의 사도세자

    아버지 영조에 죽임당한 비운의 사도세자

    사도세자의 묘 융릉아버지 영조의 노여움을 사서 27세때 뒤주(쌀을 보관하는 나무 궤짝) 속에 갇혀 죽은 비운의 사도세자. 그가 장인 홍봉헌에게 보낸 눈물어린 편지가 공개되면서 새삼

    중앙일보

    2007.06.15 10:18

  • [Photo] 고종·명성황후 결혼하던 날

    [Photo] 고종·명성황후 결혼하던 날

      ‘고종ㆍ명성후 가례’ 재현 행사가 21일 서울 운니동 운현궁에서 열렸다. 조선왕조의 가례는 왕을 비롯하여 왕세자나 왕세손과 같이 왕통을 이어나갈 사람들의 혼례다. 강정현 기자

    중앙선데이

    2007.05.01 18:43

  • "비운의 왕궁 복원 후 되살아날까? 일제 때 훼손되기 전 사진 발굴"

    "비운의 왕궁 복원 후 되살아날까? 일제 때 훼손되기 전 사진 발굴"

    출처불명, 연도불명의 경복궁 사진 한장이 인터넷에 떠돌고 있어 주목된다. 이 사진은 경복궁이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전 것으로 보여 현재 진행중인 경복궁 복원사업에 중요 자료가 될

    중앙일보

    2007.04.17 15:41

  • 조선시대 '임금님 도장' 국새도 사라졌다

    제헌헌법 원본과 대한민국 최초 국새가 분실된 사실이 밝혀진 데 이어, 조선시대 국새도 모두 없어진 것으로 밝혀졌다고 조선일보가 8일 보도했다. 감사원은 7일 문화재 지정과 관리실태

    중앙일보

    2005.11.08 09:07

  • [문화 노트] 고 이구씨 '황세손' 호칭 이래저래 성급

    대한제국 황손(皇孫) 고 이구(李玖)씨 장례식은 성대히 끝났지만 몇가지 아쉬움이 남는다. 우선 호칭 문제다. 문화재청과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은 그의 타계 사실을 알리며 '대한제국 마

    중앙일보

    2005.07.26 05:30

  • [현대사 추적] 死後 110년 명성황후 진짜 사진 가린다

    [현대사 추적] 死後 110년 명성황후 진짜 사진 가린다

    ‘월간중앙’이 명성황후 사진 진위 논쟁과 관련, 새 사진 3장을 입수해 공개한다. 명성황후가 일본 자객의 칼을 맞고 비명에 간 지 110년이 된 시점을 기리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중앙일보

    2005.04.20 10:51

  • [week& Leisure]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week& Leisure]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지금은 한해 3백만명이 찾는 관광 명소지만 경복궁은 우리네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조선 왕조 얘기만은 아닙니다. 일제를 거치고 군사정권을 지나 오늘에 오기까지. 그

    중앙일보

    2003.12.04 16:00

  • [마지막 황제 순종의 일본 방문길] 下

    [마지막 황제 순종의 일본 방문길] 下

    부산 영주항에서 일본 군함 비전(肥前)을 타고 1917년 6월 9일 오전 8시 30분 출발한 순종 일행은 그날 오후 8시쯤 시모노세키(下關)에 도착했다. 일본 궁내성의 서기관급

    중앙일보

    2003.03.18 18:47

  • [옴부즈맨 칼럼] 다이애나 '妃'냐 '嬪'이냐

    비 (妃) 와 빈 (嬪) 은 지난주 내내 나의 머리속을 맴돈 화두 (話頭) 였다. 다이애나의 사고사 (事故死) 라는 세계적인 뉴스 속에서 우리나라의 신문들이 보여준 '비' 와 '빈

    중앙일보

    1997.09.08 00:00

  • [내고장 유래]은평구 신사동 (新寺洞)

    서울은평구신사동 (新寺洞) 의 동명은 정확한 고증이 되지 않지만 옛날 이곳 어디엔가 절을 새로 지으면서 붙여진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조선초 한성부북부성외방 (城外坊)에 속했으며

    중앙일보

    1997.09.04 00:00

  • 지금까지 모형 想像物 문헌考證 다시해야-거북선 보도 파장

    지난 11월16일자 중앙일보는 지면(37,38면)을 통해 한국인이라면 누구라도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과제 하나를 던졌다. 바로 우리민족의 국보중 국보인 거북선의 실체를 밝히는 일이

    중앙일보

    1996.11.21 00:00

  • 운현궁 내달말 일반에 개방-고종生家 노안당.노락당등 복원

    서울 시내 고궁이 이번 가을 잇따라 복원,보수공사를 마치고 일반인에 선보인다. 창덕궁 낙선재(樂善齋)가 지난 1일 5년간의 보수공사를 마치고 일반에 공개된데 이어 10월 하순에는

    중앙일보

    1996.09.08 00:00

  • 찰스 왕세자 부처 방한 한·영 "굳은 악수" 기대

    영국 찰스왕세자와 다이애나비의 방한은 고종20년인 1883년 한영 통상우호조약 체결 이후 왕위 계승자로서는 처음 이뤄진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 영국은 이번 찰스왕세자 부처의 방한이

    중앙일보

    1992.11.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