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대 한민족 정착지 일본 아스카 역사탐방

    오사카(大阪)에서 동쪽으로 해발 5백 조금 넘는 후타카미야마(二上山)를 넘으면 야마토(大和)-지금의 나라(奈良)지방이다. 아스카(飛鳥)는 나라시에서 20㎞정도 떨어진 작고 평화로운

    중앙일보

    1996.02.07 00:00

  • 달아 높이곰 돋아사

    『삼국사기』 신라본기(新羅本紀)에는 성덕왕(聖德王) 20년(721년)하슬라도(何瑟羅道)의 장정 2천명을 동원,북쪽 국경에장성(長城)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흔히 「아슬라」라 불린

    중앙일보

    1995.10.29 00:00

  • 7.대흑산산성.건안성.쇠보습

    大連大門大開(다롄의 큰 문은 활짝 열렸다). 遼東반도의 남단 국제항 大連市 변두리의 어느 화물운송회사 가건물에 씌어진 이 표어는 경제부흥에 박차를 가하고있는 중국의 오늘을 상징했다

    중앙일보

    1995.08.29 00:00

  • 2.白巖城

    백암성(白巖城)은 태자하를 따라가는 고대 길을 제압하는 요충지에 위치해 있다.양원왕3년(547년)에 개축했다는 사실이 『삼국사기』에 나오는 걸로 봐서 초축 시기는 장수왕대 이후로

    중앙일보

    1995.07.18 00:00

  • 압록강 발원지, 부석돌짬 소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강인 압록강의 발원은 정확히 백두산 병사봉에서 남서쪽으로 수백m 아래에 있는「부석돌짭」이라고 평양에서 발간되는 화보『조선』최근호가 밝혔다. 이 화보는「압록

    중앙일보

    1993.03.11 00:00

  • 초반 부진 씻은 『삼국기』

    어렸을 때부터 귀에 못이박이도록 들은 얘기 중의 하나가 삼국통일이다. 그러나 규모가 큰 탓에 소설·영화·TV드라마 어느 것 하나 정면으로 맞닥뜨릴 소재로 삼을 엄두를 못냈다. KB

    중앙일보

    1992.05.26 00:00

  • (37)영원한 백제의 넋 낙화암

    꽃보다 더 붉고 꽃보다 더아름다운 빛깔로 이 나라의 산천을 물들이고 간 딸들이 있었다. 저 7백년 왕조의 백제가 무너지던 날, 백제의 어여쁜 딸들은 높디높은 바위벼랑에서 꽃다운 젊

    중앙일보

    1991.11.10 00:00

  • “40년 응어리풀고 눈물의 성묘”/평양갔다온 춘원 3남 이영근박사

    ◎김일성대학 교수가 “묘소확인” 주선 최근 평양을 방문,40여년만에 아버지의 병사를 확인하고 묘소를 찾아 성묘한 후 1일 오후 귀국한 춘원 이광수의 3남(두 아들은 일찍 사망) 이

    중앙일보

    1991.08.03 00:00

  • (23)뛰어난 씨름선수 처녀들의 우상

    몽골에는 우리나라의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같은 「나담(나달모) 축제」가 해마다 열린다. 「나담(나달모)」이란 말은 오락 또는 놀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 축제는 오보(서낭당

    중앙일보

    1991.02.07 00:00

  • (3) 동대사대불은 백제 사람들 작품|동국대 조사단 근기 지방 학술 기행-김사엽

    기원 4, 5세기께 한반도로부터 농경 및 생산의 기술과 말을 가지고 일본 근기 남부에 이주해 온 이른바 제2차 도래집단이 오사카 서남해안지대에 정착, 이 일대를 개척해 부를 축적하

    중앙일보

    1988.11.03 00:00

  • (3)높이 20m…"난공불락"의 고구려 환도산성

    고구려가 1세기부터 5백년간 수도로 삼았던 집안(오늘의 집안)은 첩첩산중에 있었다. 만주벌판에서 이곳으로 가려면 길은 단 2개. 통화를 떠난 열차는 장백산맥의 준령사이의 오르막길을

    중앙일보

    1985.07.25 00:00

  • 한일관계사의 쟁점-앙국학계, 무엇을 어떻게 보나『일사기』와『일본서기』

    우리는 앞에서『고사기』에는「일본부」 란 용어나 기사가 없는데 『일본서기』가 황국주의사장에 의하여「일본부」란 용어를 조작하였다는 점을 얘기하였다. 그러나 지면의 제한상 『일본서기』

    중앙일보

    1982.09.08 00:00

  • 국사편찬위가 분석한 교과서 왜곡문제

    ◇한군현의 위치 ▲조선우도에도 농경과 금속기의 문화가 발달하고 한은 그곳에 낙랑군등의 사군을 두고 지배하었다.(동경서적 일본사 P15) ▲또 조선우도에서는 2세기 후반에 한족이

    중앙일보

    1982.08.05 00:00

  • 연주 현씨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소월의 명시 「진달래꽃」으로 널리 알려진 평안북도 영변의 옛 이름은 연주. 연주 현씨는 바로 이곳 영변에서 8백여 년

    중앙일보

    1982.02.20 00:00

  • 백두산 개관

    겨울 관모봉 북설령에서 성스러운 백두산의 아득한 모습을 우러러 본후 내가 백두산을 처음으로 찾아간것은 42년 겨울이었다. 남들과는 달리 가장 어려운 엄동기를 먼저 택했고 일부러 험

    중앙일보

    1975.12.25 00:00

  • (55)제10화 고구려의 유풍 남긴 팔호 타구|제3장 동북지방의 한적 문화탐방

    암강 교수가 수집해 놓은 풍부한 사진과 문헌자료들을 통해 알아본 타구의 역사는 체육사 전공자가 아니라도 흥미진진한 것이 있다. 그에 의하면 타구의 역사는 동서양 문화교류의 표본이며

    중앙일보

    1974.03.05 00:00

  • 토성 관원 놀이| 양재연 교수 조사

    북한의 중요 무형문화재인 함남 북청군의 「토성 관원 놀이」가 양재연 교수 (중대)에 의해 조사, 재구되었다.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을 건의한 『토성 관원 놀이』는 정월보름을 전후하

    중앙일보

    1972.08.10 00:00

  • (317)고대일본에 새긴 고구려의 예지|나량의 벽화고분

    3월26일 발견된 나량의 벽화고분에 대해서는 국내신문들의 기사를 토대로 그 역사적 의의를 약초 한바 있으나 그후 일본신문들의 보도들을 볼 수 있어 좀 더 자세한 것을 알게되었다.

    중앙일보

    1972.03.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