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017 대학특집] IT융합 인재 육성 … 창업 교육 모델 구축도 앞장

    [2017 대학특집] IT융합 인재 육성 … 창업 교육 모델 구축도 앞장

    새 학기, 새 도전 숭실대는 IT기술?빅데이터의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조적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 숭실대]숭실대학교가 국내 최초 컴퓨터

    중앙일보

    2017.03.28 00:02

  • [창의인재 육성대학] 스마트자동차·에너지공학…미래 인재 양성 앞장

    [창의인재 육성대학] 스마트자동차·에너지공학…미래 인재 양성 앞장

    숭실대는 2017학년부터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를 신설해 미래 신산업을 주도해 나갈 핵심인력을 양성한다. [사진 숭실대]숭실대학교는 1995년 벤처중소기업학부를 설립하고 중소기업

    중앙일보

    2016.11.25 00:02

  • 치킨집 사장님 유망업종 전업 땐 컨설팅·자금 지원

    치킨집 사장님 유망업종 전업 땐 컨설팅·자금 지원

    최경환 경제부총리(오른쪽)와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이 24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자영업 보호 및 고용안정대책 당정협의에서 인사하고 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580만 명에 달

    중앙일보

    2014.09.25 02:30

  • 홍익대 대학원 지식재산학과, 국제IP심포지엄 개최

    홍익대 대학원 지식재산학과, 국제IP심포지엄 개최

    홍익대 대학원 지식재산학과는 일본 동경이과대(TUS)와 공동으로 “2014 지식재산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8월 23일(토) 10시 홍익대 홍문관(10층)에서 국제IP심포지엄을

    온라인 중앙일보

    2014.08.21 14:15

  • 보직국장 30여명 부처 바꿔 근무한다

    이르면 내년 초부터 중앙부처의 주요 보직 국장 30여명이 부처를 바꿔 일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으로 산업자원부 국장이 오는 대신 재경부 국장이 산자부 산업정책

    중앙일보

    2003.12.11 20:26

  • [뉴스 브리핑] 일본 무역진흥회 일본·한국 교류제 外

    *** 일본 무역진흥회 일본·한국 교류제 일본무역진흥회(JETRO)는 2002년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양국간의 교류 증진을 위해 오는 2월16일~25일 코엑스(COEX) 태평

    중앙일보

    2001.01.22 00:00

  • [브리핑] JETRO '제 1회 일-한 교류제' 개최

    일본무역진흥회(JETRO)는 2002년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양국간의 교류 증진을 위해 오는 2월16일~25일 코엑스(COEX) 태평양관에서 '제1회 일.한교류제' 를 개최한

    중앙일보

    2001.01.21 18:59

  • [브리핑] JETRO '제 1회 일-한 교류제' 개최

    일본무역진흥회(JETRO)는 2002년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양국간의 교류 증진을 위해 오는 2월16일~25일 코엑스(COEX) 태평양관에서 '제1회 일.한교류제' 를 개최한

    중앙일보

    2001.01.21 18:59

  • [중앙시평] 한일관계 새 지평 열자

    일본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다양하기 이를 데 없다. 반일감정도 널리 퍼져 있지만 그 선진경제를 모방코자 하는 움직임 역시 활발하다. 젊은 세대의 경우 아예 무관심하거나 반대로 일본

    중앙일보

    2000.11.29 00:00

  • 경기도

    ◇경기도(이하 계장)^보도기획 임승빈^국제교류제1 이진수^경제복지예산 이병만^예산총괄 이환근^건설기술예산 방광업^감사기획 김완석^회계감사 최문용^계약관리 조경행^재산관리 김종근^청

    중앙일보

    1997.05.03 00:00

  • 대학 세계화 외국유학생 유치가 지름길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나라 학생들과 시간을 주로 보내는 해외 어학연수는 막상 연수후 대학에서 공부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해외수학 기회 확대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대학차원에서

    중앙일보

    1997.04.04 00:00

  • 일본,내년부터 民官인사교류 확대

    일본정부는 공무원과 민간기업의 상호 인사교류를 촉진하기 위한「민관(民官)인사교류촉진법안」을 마련,내년 1월 정기국회에 제출키로 했다고 20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보도했다.

    중앙일보

    1996.08.21 00:00

  • 南阿共 禁輸제재 한국도 완전해제

    정부는 지난달 29일자로 南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무기금수조치를 해제함으로써 남아공에 대한 모든 제재조치를 해제했다고 2일외무부가 발표했다. 장기호(張基浩)외무부 대변인은 이날『지난

    중앙일보

    1994.12.02 00:00

  • 對中 군사교류 제한 濠洲,철폐결정

    [홍콩=劉尙哲특파원]호주가 지난89년 천안문(天安門)사태이후설정했던 중국과의 군사교류제한 정책을 전면 철폐했다고 文匯報와星島日報등 홍콩의 주요지들이 호주 국방부관계자의 말을 인용,

    중앙일보

    1994.11.14 00:00

  • 한중 미래포럼 결성키로/국제교류재단/중 외교학회와 합의

    외무부 산하 국제교류제단(이사장 손주환)은 중국 외교부 산하 인민외교학회(회장 유술경)와 양국의 각계 지도급인사 10여명으로 구성된 「한중 미래포럼」을 결성키로 합의했다고 21일

    중앙일보

    1994.05.22 00:00

  • “경찰중립화·보안사 없애야”/김대중총재 국회연설문 요지

    국회의 장기간 기능마비와 정치파행으로 국민에게 끼친 염려에 사과한다. 그간 우리의 투쟁은 내각제개헌을 좌절시키고 30년 만에 지자제를 회복하는 성과를 올렸다. 지난 1월 3당야합

    중앙일보

    1990.11.23 00:00

  • 방북 신청창구에 몰린 열망(사설)

    4일 새벽부터 전국 접수창구에 줄지어선 북한 방문 신청자들의 모습은 또한번 분단의 아픔과 이를 극복하려는 우리 국민들의 열망이 얼마나 강렬한지를 확인해주었다. 정부가 지정한 13일

    중앙일보

    1990.08.05 00:00

  • 북한의 폐쇄경제 한계점에|경제교류 제의 수락한 속사정

    국내정치·외교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제정책에서도 문호개방을 꺼리던 북한이 한국의 남북한 경제교류 제의에 선뜻 응한것은 북한이 폐쇄경제의 한계점에 와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우선 진단할수

    중앙일보

    1984.10.17 00:00

  • 한국의 경제교류제의 북한서 수락가능성

    【동경=신성순특파원】한국의 경제교류제의에 대한 북한측의 반응이 주목되고 있는가운데 일본외무성의 한 고위관계자는 12일『북한측이 이를 받아들일지도 모른다』고 수락가능성을 시사했다.

    중앙일보

    1984.10.13 00:00

  • 한반도정세에 미묘한 변화

    북한테러범에 대한 버마정부의 재판진행은 북한의 테러집단으로서의 성격을 명확하게 부각시켜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제재하려는 우리의 외교노력 또한 새삼 관심을 끌고 있다. 정부는 버마정부

    중앙일보

    1983.11.24 00:00

  • 정부, 외무위에 보고|각국에 북괴응징 요구키로

    외무부는 5일 국회외무위간담회에서 보고를 통해 앞으로 평화를 애호하는 세계국가가 북한의 테러행위에 대한 개별 또는 집단적 제재조치를 취하도록 외교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각국의

    중앙일보

    1983.11.05 00:00

  • 잇단 대형사고 근절방안 있나

    국회본회의는 12일 하오 김상협 국무총리와 관계국무위원들을 출석시킨 가운데 사회분야에 관한 대정부질문에 들어갔다. 국회는 11일 하오 경제문제에 관한 질문을 끝냈으며, 13일 사회

    중앙일보

    1982.10.12 00:00

  • 중공 대만에 교류제의 "경제·과학포함, 본토방문 환영"

    【동경22일AP합동】중공당주석겸 수상 화국봉은 현정세가 중공과 대만간의 재통일에 매우 유리하다고 선언하고▲대만인들의 중국본토방문▲북경·대북 우편·수송·무역관계수립▲중공과 대만간의

    중앙일보

    1979.06.23 00:00

  • 정치·군사 우선의 긴장완화

    「카터」행정부의 외교정책 방향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쳐온 것으로 알려진 삼각위원회는 지난11일부터 3일간의 회의를 갖고 한반도문제와 대 중공문제를 포함한 여러 가지 현안에 대해 포괄

    중앙일보

    1978.06.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