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단독] 개성공단 역사 뒤안길로…정부, 지원재단 해산 결정

    [단독] 개성공단 역사 뒤안길로…정부, 지원재단 해산 결정

    2022년 10월 5일 경기도 파주시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도라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개성재단)'을 해산하기로 결정

    중앙일보

    2024.01.04 13:05

  • 금강산 두고 온 버스 30대가 왜…위성에 딱 찍힌 '수상한 장면' [하늘에서 본 북한] ②

    금강산 두고 온 버스 30대가 왜…위성에 딱 찍힌 '수상한 장면' [하늘에서 본 북한] ②

    현대아산이 금강산 관광객 운송에 이용하다 현지에 남겨두고 철수한 버스들이 북한 시설 앞 주차장에서 발견됐다. 버스들은 당초 이곳에서 2.9Km 떨어진 주자장에 있었다. 현대아산

    중앙일보

    2022.01.16 23:24

  • "수조원 사업을 서기관 혼자?" 北원전 의혹 풀리지 않은 의문

    "수조원 사업을 서기관 혼자?" 北원전 의혹 풀리지 않은 의문

    북한 원전 건설 추진 문건과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31일 내놓은 첫 공식입장의 요지는 ▶산업부 내부 검토 자료이며 ▶아이디어 수준에서 종결했고 ▶북한 원전은 비핵화 문제

    중앙일보

    2021.02.01 16:16

  • [단독] 통일부, 남북 철도·도로 예산 3526억 비공개로 넣었다

    [단독] 통일부, 남북 철도·도로 예산 3526억 비공개로 넣었다

    통일부가 1조970억원으로 책정한 내년도 남북협력기금 사업비 중 3500억원가량의 금액을 북한과의 철도 및 도로 협력사업에 책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추진 중인 남북 철도

    중앙일보

    2018.11.08 01:50

  • 북한은 미국을 믿을 수 있을까?

    북한은 미국을 믿을 수 있을까?

    “북한은 ‘체제를 보장해 줄 테니 비핵화하라’는 미국을 갑자기 신뢰할 이유가 전혀 없다.”   국제정치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존 미어샤이머 미국 시카고대 석좌교수가 23일 이

    중앙일보

    2018.03.23 19:41

  • 정부, 극비리 추진 … '사실상 추방' 논란

    정부, 극비리 추진 … '사실상 추방' 논란

    8일 속초로 귀환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관련 직원들이 한국 선박인'한겨레호'에서 짐을 내리고 있다. 현장 경비 인원 등 57명의 남은 인력이 전원 귀환했다. 속초=박종근

    중앙일보

    2006.01.09 05:37

  • ④[표]남북 교류협력 일지

    ▲1953. 7.27 = 정전협정 정식조인 ▲1972. 8.18 = 남북적십자 본회담용 직통전화 가설(서울~평양 20회선) ▲1976. 5. 6 = 방콕 아시아청소년축구대회 남북한

    중앙일보

    2003.07.15 11:14

  • [시론] 남쪽이 北核 결단을 내리자

    북한의 핵 위협이 한반도 상황을 벼랑 끝으로 몰아가고 있다. 국정원은 지난 9일 국회 보고에서 북한이 70여차례의 고폭실험을 실시했고 사용후 연료봉 8천개 중 소량을 재처리했을 가

    중앙일보

    2003.07.15 10:16

  • [시론] 남쪽이 北核 결단을 내리자

    북한의 핵 위협이 한반도 상황을 벼랑 끝으로 몰아가고 있다. 국정원은 지난 9일 국회 보고에서 북한이 70여차례의 고폭실험을 실시했고 사용후 연료봉 8천개 중 소량을 재처리했을 가

    중앙일보

    2003.07.14 18:12

  • 南北, 9개 규정 협상 중

    북한이 지난해 11월 개성공업지구법을 공포한 데 이어 최근 개성공단 착공식까지 열렸지만 이 사업이 제대로 굴러가기 위해선 남북 간에 합의해야 할 법적 대목이 많이 놓여 있다. 남북

    중앙일보

    2003.07.02 17:44

  • 南北, 9개 규정 협상 중

    북한이 지난해 11월 개성공업지구법을 공포한 데 이어 최근 개성공단 착공식까지 열렸지만 이 사업이 제대로 굴러가기 위해선 남북 간에 합의해야 할 법적 대목이 많다. 남북 양측은 올

    중앙일보

    2003.07.02 16:54

  • 2002

    2002.1.1 , , 공동사설 "위대한 수령님 탄생 90돌을 맞는 올해를 강성대국 건설의 새로운 비약의 해로 빛내이자" 발표2002년 공동사설 전문, 학생·근로단체·청년단체 등

    중앙일보

    2003.01.14 18:16

  • 美 "北 핵사찰을" 北 "3년 뒤에나"

    [워싱턴·도쿄=김진·오대영 특파원]미국은 7일 거행된 북한 경수로 1호기 원자로의 콘크리트 타설 착공식을 계기로 북한이 과거 핵활동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아

    중앙일보

    2002.08.09 00:00

  • 미, 북한에 핵 합의 준수 요구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북한 원전 사업이 착공에 들어가면서 미국 정부가 북한에 미국과의 핵 합의를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수요일 북한 동부 해안에 위치한 금호 지구에서는 콘크

    중앙일보

    2002.08.08 15:34

  • 北 KEDO 경수로 본체 착공식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7일 오전 11시 함경남도 금호지구 경수로 1호기 원자로 건물 앞에서 'KEDO 원전 최초 콘크리트 타설 착공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장선섭

    중앙일보

    2002.08.08 00:00

  • 北 경수로 1 호기 2008년 완공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7일 북한에 제공할 경수로 발전소 본체 콘크리트 타설 행사를 갖게 됨으로써 경수로 공사가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1997년 이래 시작된 부지 조성

    중앙일보

    2002.08.07 00:00

  • 경수로 본체공사 내달 7일 착공

    대북 경수로(輕水爐)발전소 공사가 20일 남북 간 직항공로 개통에 이어 다음달 7일 경수로 본체 콘크리트 공사 착공식을 하게 됨에 따라 탄력을 받게 됐다. 16일에는 한반도에너지

    중앙일보

    2002.07.18 00:00

  • 대북경수로 기초 굴착공사 착공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4일 북한 당국으로부터 신포 금호지구에 짓고있는 경수로 발전소 건설허가를 발급 받음에 따라 발전소 기초굴착 공사를 위한 막바지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중앙일보

    2001.09.04 16:07

  • [6·15 남북 공동행사 무산 배경]

    정부가 6.15 공동선언 1주년을 맞아 치르려던 당국 차원의 남북 공동행사를 22일 취소키로 결정한 것은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이런 행사를 추진하는 게 무리라는 판단에서다.

    중앙일보

    2001.05.23 00:00

  • 경수로 착공식 북한대표 허종은 허헌의 아들로 확인

    지난 19일 함남 금호지구의 경수로 착공식에 북한대표로 나온 허종 (許鍾.58.외교부 순회대사) 은 해방직후 남로당 (南勞黨) 위원장으로 활동하다 월북, 최고인민회의 의장과 김일성

    중앙일보

    1997.08.27 00:00

  • [간추린소식]경수로 북한 숙련공 월급 1백50-2백20달러 지급키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KEDO) 와 북한은 대북 (對北) 경수로사업에 참여하는 북한 숙련공의 임금을 월 1백50~2백20달러 사이에서 7개 직군으로 나눠 차등 지급키로 합의한 것으

    중앙일보

    1997.08.26 00:00

  • 북한 금호주민들 표정·반응

    "김정일 (金正日) 비서는 자신을 내세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는 金비서의 소박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왜 아직도 김일성 (金日成) 배지를 달고 있으며, 김정일이 언제쯤 국가

    중앙일보

    1997.08.23 00:00

  • [북한 경수로 착공식 중계 위성뉴스송출장치]

    지난 19일 북한 신포 금호지구에서 있은 경수로 착공식이 국내 방송사에 의해 전국에 중계되면서 이 중계에 이용된 위성뉴스 송출장치 (SNG)에 새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중앙일보

    1997.08.22 00:00

  • 경수로 완공시기 KEDO-북한 이견

    지난 19일 함남 금호지구에서 착공된 대북 경수로 (輕水爐) 의 완공시기를 둘러싸고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KEDO) 와 북한이 이견을 보이고 있어 향후 협상에서 심각한 갈등이 빚어

    중앙일보

    1997.08.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