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층 아파트 과연 안전한가|이창건

    이사철이다. 좀더 좋은 집, 보다 넓고 쾌적한 공간으로 옮기려는 증산층의 소박한 꿈이 아파트 건설비를 반으로 줄이겠다는 선거공약과 맞물릴 만큼 되었다. 우선 사회적 신분을 집의 평

    중앙일보

    1992.03.14 00:00

  • 고층건물 내진설계 의무화

    24일부터 6층 이상의 신축 건물과 연건평 1천 평방m(3백2평)이상의 병원·공공업무 시설·방송국·전신전화국, 연건평 5천 평방m(1천5백12평)이상의 영화관 등 관람 집회시설과

    중앙일보

    1988.08.06 00:00

  • 초전체 에너지 개발본격화|반도체·교통수단등 응용할 저장장치 중점|교량·항만·댐에도 내진설계 의무화 주장

    국내외 한국과학자 여름철 심포지엄 88국내외 한국과학기술자학술회의 하계심포지엄이 5∼7일 서울대에서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로 열리고 있다. 심포지엄에서는 ▲초전도과학 ▲농업·방재

    중앙일보

    1988.07.06 00:00

  • 좁은 땅 활용하고 깨끗한 도시 만들려면…|"217층 규모 초고도 빌딩군 건설해야"

    우리나라처럼 국토의 가용면적이 작은 나라에서 「깨끗한 도시환경, 공해없는 도시 등을 고려한다면」 높이 8백68m, 2백17층 규모의 초고층빌딩군의 건설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중앙일보

    1987.04.21 00:00

  • 지진과 한반도

    우리나라는 이제까지 지진에 관한 한 축복받은 나라로 알아왔다. 그러나 근년 지구 곳곳에서 지진 참화가 잇따르면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요즘은 『축복받은 나라」가 아니라는 우

    중앙일보

    1986.12.15 00:00

  • 원전 완벽한 시공 관리에 달렸다|국내것은 안전한가…소 사고 계기로 알아본다

    원자력발전소는 과연 안전한 것인가. 지난달 소련의 체르노빌핵발전소 사고는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에 대한 재검토를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각국에서는 대대적인 안전점검은 물론 반핵운동까지

    중앙일보

    1986.05.06 00:00

  • 일본은 강진을 이렇게 이겨냈다.|내진건축·평소훈련으로 피해 줄여

    반세기만의 강력한 지진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피해가 극소화 될수 있었던 것은 우선 대부분의 건물들이 내진공법에 의해 지어졌기 때문이며 시민들이 평소의 훈련을 통해 비상사태에 익숙하

    중앙일보

    1985.10.05 00:00

  • "멕시코 지진참사 남의 일 아니다"

    멕시코의 지진은 강건너 불인가. 인구 1천만명, 단독주택 74만 채, 아파트와 연립주택 43만 채, 고층(10층 이상)빌진 1천7백52동의 수도서울에 진도5이상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중앙일보

    1985.09.26 00:00

  • 지진과 건물|멕시코 지진참화의 교훈

    멕시코 수도를 강타한 세차례의 지진은 실로 엄청난 재난을 몰고왔다. 도시가 거의 폐허화하는등 재산피해도 가늠하기 어려울정도로 큰 모양이다. 9백70억달러의 무거운 외채를 걸머지고

    중앙일보

    1985.09.24 00:00

  • 미국이 지은 건물은 멀쩡했다

    멕시코시티는 16세기 신대륙에 도전한 스페인사람들이 정복한뒤 호수를 메워 그위에 현재 멕시코시티의 원형이 들어섰다. 이곳은 태양신과 사람을 제물로 바치던 아즈텍문명이 융성했던곳.

    중앙일보

    1985.09.24 00:00

  • 잇단지진과 원전의 안전성

    고리와 월성원자력발전소의 지진에 대한 내진설계를 다시 검토해야한다는 전문가들의 건의가 잇따르는가운데 25일 하릇사이에 인천과 경북울진지방을 진영지로한 지진이 연쇄적으로 발생, 불안

    중앙일보

    1985.06.26 00:00

  • 지진|한국도 안전지대 아니다|최근 잦은 발생원인과 안전대책

    「우리나라는 과연 지진안전지대인가」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최근 우리나라와 이웃나라에서 지진이 빈발하고 있다. 지난 78년 홍성지진이후 잠시 뜸했던 지진이 지난해 8월29일 중부지

    중앙일보

    1983.06.28 00:00

  • 지진 경상분지·한강하류에 잦다

    한반도의 지진위험도롤 등고선식으로 표시, 전국의 지진위험정도를 한눈에 알아 볼수 있게 한 지진위험분포도가 작성됐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탐사기초연구실 양승진 박사 팀은 우리나라 역사

    중앙일보

    1982.05.03 00:00

  • 우리나라선 하천유역에 지진 많다

    한밤중 건물이 흔들리면서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다. 지난 14일은 오랜만에 전 인구의 3분의 1이 지진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었다. 78년 홍성 지진에 이은 진도 3의 이번

    중앙일보

    1982.02.19 00:00

  • 지진 무방비에의 경종

    지난7일 하오 충남 홍성을 비롯한 충청·서해안 일대에 진도5의 강진이 발생, 수명의 부상자와 3천여동의 건물이 부서지거나 금이 갔으며, 이밖에 가구·문화재등이 상당수 파손됐다고 한

    중앙일보

    1978.10.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