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재화는 행실을 그르치나니…” 조선조 ‘금수저’의 최후
━ 울진 월송정과 무신 박원종 김정탁 노장사상가 조선에서 가장 팔자 좋은 삶을 산 사람은 누구일까. 세속적 기준에서 보면 성종과 연산군 시대를 거쳐 중종 시대를 살다간 박
-
연산군 폐위된 날 '탕춘대'가 죄목…실록 올라갔다
━ 스무 고개, 수많은 이야기 〈14〉 자하문고개·탕춘대고개 인왕산과 백악산을 가르는 자하문고개 위로 창의문이 보인다. 멀리 북한산 줄기에 우뚝 솟은 봉우리는 보현봉이다.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조선 사람들도 훈민정음 100주년 기념했을까
━ 서양과 다른 시간 구분 조선시대 세종 때 선보인 자동 물시계인 자격루 복원품. [중앙포토] 올해는 광복절을 맞아 귀한 일이 있었다. 봉오동 전투의 지휘자 홍범도(186
-
"심재철이 원균? 그것도 찬사" 검사들 계속되는 尹징계 비판
지난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로비. [연합뉴스] 윤석열 검찰총장 정직 2개월을 의결한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징계위)의 판단이 부당하다는 검찰 내부의 비판이 잇따르고
-
양반의 병역꼼수 집요했다…나라도 망할뻔한 조선 병역비리
“사대부는 비록 백대(百代)가 지나더라도 군역(軍役)의 염려가 없습니다.” 영조 때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영의정 김재로의 발언입니다. 조선에서 병역이 양반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
양반의 병역꼼수 집요했다…나라도 망할뻔한 조선 병역비리
“사대부는 비록 백대(百代)가 지나더라도 군역(軍役)의 염려가 없습니다.” 영조 때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영의정 김재로의 발언입니다. 조선에서 병역이 양반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
[더오래]기생 1000명…‘흥청망청’ 유래한 연산군의 주색잡기
━ [더,오래] 이향우의 궁궐 가는 길(24) 연산군은 성종의 장남으로 생모는 폐비 윤씨이다.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집권 초기에는 국정을 잘 다스려 성군의 기질이 보였는
-
홍준표 “선조 고종 합친 것보다 무능” 문 대통령 연일 비판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6일 “선거 한번 잘못해 나라 꼴이 이렇게
-
여섯 살 때 귀양 갔던 이준경 '복수의 칼' 쓰지 않은 까닭
━ [더,오래] 김준태의 자강불식(9)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준경(1499~1572)의 시문집, '동고유고' [사진 디지털청주문화대전] 1504년(연산군
-
임신 원하지 않았던 왕건, 돗자리에 …
━ 김원회의 ‘역사 속의 성’ 왕건이 견훤을 치려고 나주에 갔을 때 우물가에서 한 처녀를 만나 물을 달라고 했다. 여인은 물을 떠주면서 두레박에 버들잎 하나를 넣었다. 왕
-
촉망 받던 젊은 인재 임사홍, 어떻게 희대의 간신 됐나
━ [더,오래] 김준태의 후반전(15) 지금까지 주로 인생 후반전에 더욱 빛났던 인물들을 다뤘다. 새로운 도전에 성공했거나 오랜 기다림 끝에 꿈을 이룬 사람, 개과천선하고
-
[책 속으로] 추사 김정희는 뛰어난 과학자였다
조선시대 과학의 순교자 조선시대 과학의 순교자 이종호 지음, 사과나무 시대를 막론하고 과학은 변화를 이끌었다. 인공지능이 우리 시대를 혁명적으로 바꾸고 있는 것처럼, 돌도끼·
-
[김준태의 보스와 참모의 관계학(24) 임사홍과 연산군] 간신의 헌신에 눈 멀면 다 망해
임사홍, 정적에게 복수하려 연산군과 갑자사화 공모 … 간신은 충신의 가면 쓰고 사리사욕 채워 촉한의 황제 유비는 자신의 수석참모인 제갈량을 두고 “나에게 공명(孔明)이 있음은 물
-
박태성·조용원·조남진, 김정은 공포정치 주도 3인방
━ 자아비판 신년사 그 후 두달, 북한서 무슨 일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느닷없이 자아비판을 했다. 북한에서 무오류의 신성한 존재인 수령이 본인의 과오를
-
[김준태의 ‘사직상소에 비친 조선 선비의 경세관’ (27)] 국정농단한 외척에 맞서 배수의 진
일러스트:김회룡 aseokim@joongang.co.kr명종 후반기부터 선조 즉위 초기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방계승통(선조는 조선왕조에서 방계로서 임금이 된 첫 사례로, 임금의
-
백성 고통 덜어줬던 ‘풍류의 선비’ 정여창
1 경남 함양의 남계서원 정문에 해당하는 누각에 ‘풍영루’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가운데 공간이 강학공간, 가장 뒤쪽에 있는 건물이 제향공간으로 조선시대 서원건축의 초기 배치 형
-
신진 사림에 탄핵?언론권 주며 시대의 금기와 맞서다
2017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가 필수 과목이 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한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앙SUNDAY는 과거 연재했던 인기 역사 기획 내용을 토대로
-
정치공작, 당쟁의 피바람 키웠다
[장형 신도비와 묘] 역관 장형은 서녀 장옥정이 왕자를 낳은 후 영의정에 증직되고, 옥정이 왕비가 된 후 옥산부원군에 봉해졌다. 그의 석물을 세우는 데 1500명이 동원되었다.
-
수군과 의병의 활약으로 임진왜란을 극복
동래부순절도 : 동래부사 송상현은 명나라로 가는 길을 빌려달라는 일본군의 요청을 거부하고 결사 항전을 하다 성민(城民)들과 함께 전사했다. [사진 권태균] 【총평】 고려 말부
-
뜻이 옳아도, 고립된 권력은 실패한다
서울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사적 362호 연산군 부부의 묘(사진 위쪽). 이곳에 딸·사위의 묘도 있다. 연산군의 외동딸 휘순 공주의 시아버지 구수영은 연산군이 쫓겨난 후 아들 구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1)
?『연산군일기』는 사실(fact)을 기술한 부분과 사관(史官)의 의견(opinion)을 개진한 부분을 분리해서 읽지 않으면 함정에 빠지기 쉽다. 쫓겨난 군주들에 대해 서술할 때
-
조선왕조계보, 조선 500년 역사·27명 왕위 계승…한 눈에 보기
`조선왕조계보` [사진 중앙포토] '조선왕조계보''육룡이 나르샤'의 시대적 배경인 조선왕조계보가 온라인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조선시대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집
-
조선왕조계보, 조선 500년 역사·27명 왕위 계승 '태정태세 문단세~'?
`조선왕조계보` [사진 중앙포토] '조선왕조계보''육룡이 나르샤'의 시대적 배경인 조선왕조계보가 온라인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조선시대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집
-
조선왕조계보, 500년 역사·27명 왕위 계승 '태정태세 문단세♬'
`조선왕조계보` [사진 중앙포토] '조선왕조계보''육룡이 나르샤'의 시대적 배경인 조선왕조계보가 온라인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조선시대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