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D-ROM의 대중화! DVS Korea DSR1600H [2]

중앙일보

입력

DVD 미디어의 규격은 아직까지 표준화가 이루어지는 단계이긴 하지만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영상 타이틀을 제작하는 미디어 규격은 Dual Layer 방식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영상에 쓰이는 Dual Layer는 SD(Super Density) 방식으로 만들어진 DVD 미디어의 규격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명칭 그대로 이중으로 이루어진 층을 사용하여 Single Layer의 두 배에 가까운 8.5GB 정도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DVD 미디어를 작성하는 방식이다. 작동 원리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먼저 반투명성의 금색 층을 읽어들이고, 그 아래에 있는 반사가 잘되는 은색 층을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PTP 방식의 원리

그렇다면 Dual Layer로 작성되어진 미디어가 DVD-ROM에서 평균 배속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것은 Dual Layer의 두 번째 층을 작성할 때 PTP(parallel track path) 배열이나 OTP(opposite track path) 배열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열의 차이에 따라 DVD-ROM의 평균 배속에 차이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두 방식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를 하면, PTP는 두개의 트랙이 평행하게 작동하며 (독립적인 데이터나 특별한 스위칭 효과를 위해서라고 한다.), OTP배열은 두 번째 트랙이 반대 방향의 나선모양으로 데이터가 배열된다. (즉, 픽업 헤드가 첫 번째 트랙의 센터에서 자료를 읽어내고 두 번째 트랙의 외측으로부터 자료를 읽어들이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PTP에서는 한 층의 데이터를 읽은 후 안측에서부터 다시 자료를 읽어들이므로 배속이 초기화된 후 다시 높아지게 되며, OTP에서는 외측에서부터 자료를 읽어들이므로, 배속이 점점 낮아지게 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OTP 방식의 원리

DVD를 보면 각 챕터 별로 빠르게 영화를 검색할 수 있는 특색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바로 Dual Layer의 PTP/OPT 배열과 연계가 되게 된다. 특히 최근 영상 DVD 미디어에 많이 쓰이고 있는 OPT 배열 (RSDL[reverse-spiral dual layer]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OTP/은 단층 디스크보다는 장편의 영화를 볼때 더 높은 데이타 전송율을 이용함으로써 좋은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OPT 배열은 두 레이어 간에 지속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레이어 사이가 이음새 없이 완벽하게 어어져 있을 것이라는 보장이 없는 현재의 DVD 제작 기술에서는, 비디오 안의 어느 곳에서든지 층이 바뀌는 LAYER CHANGE 현상 때문에, 특정 플레이어에서는 짧은 시간동안 재생이 멈추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이중민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