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산자부 장관 내일 파워콤 민영화 문제 협의

중앙일보

입력

양승택(梁承澤) 정보통신부 장관과 장재식(張在植) 산업자원부 장관은 14일 조찬모임을 갖고 통신시장 재편과 관련, 한국전력 자회사 파워콤 민영화 문제를 논의한다.

이 자리에는 하나로통신 신윤식 사장도 참석할 예정이며 최수병 한전사장의 참석 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 장관은 이 자리에서 기간망 사업자인 파워콤과 시내전화 및 초고속망 사업자인 하나로통신이 결합하는 것이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거두는 것은 물론 누적적자와 중복투자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통신시장 구조조정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적극 개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국전력측은 통신시장 개편과 관계없이 8월 10일까지 투자의향서를 받아 1차 입찰을 거친 뒤 10월 중순께 최종입찰을 실시, 우선협상 대상자를 정해 11월중 경영권과 함께 전략적 제휴 지분 30%(4천500만주)를 넘긴다는 민영화 일정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어서 정통부와 산자부 장관이 어떤 방식으로 의견을 절충할지 주목된다.

한전은 지난해 7월 파워콤 지분 경쟁입찰(20%)에서 포철과 SK측의 5%씩을 포함해 모두 10.5%를 매각한 뒤 지난해 9월말까지 전략적 지분 30%를 팔기로 했으나 인수자의 입찰자격을 놓고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로 한정하자는 정통부와 국내외 사업자로 하자는 산자부 사이에 이견이 발생, 한때 매각작업이 지연된 바 있다.

하나로통신측은 이에 따라 파워콤의 전략적 제휴지분 30%를 인수하기 위해 국내업체는 물론 미국, 일본 등의 외국업체까지 포함한 컨소시엄을 구성한다는 전략하에 활발한 물밑접촉을 가져온 상태이다.

하나로통신은 자사가 파워콤 수준으로 광기간망을 확충하고 파워콤이 하나로 만큼 광가입자망을 깔려면 각각 2조원 이상 투자해야 하므로 양사 결합에 따른 시너지효과는 4조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전측은 파워콤이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한 임대사업만 할뿐 소비자들에게 직접 임대사업을 할 수 없도록 제한돼 있어 제 값을 못받을 수 있다며 사업범위제한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파워콤은 광케이블 기간망 3천678㎞, 광케이블 가입자망 4천332㎞, 동축케이블 3만8천㎞를 각각 보유한 한국통신에 이어 국내 두번째의 통신망업체다.(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