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십자사, 임금체불에 콘도 회원권 과다 보유까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대한적십자사가 기부금과 혈액수가를 이용해 콘도 회원권을 과다 구매하면서 방만 경영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 의원(새누리당)은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기관별 휴양시설 회원권 보유내역'을 분석한 결과 현재 대한적십자사 산하기관 43개소 중 18개소가 각각 휴양시설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총 회원권 보유량은 84구좌로 시가 10억 900만원에 달했고, 연간 9780명이 2372일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십자사 직원 3200여명 중 회원권을 이용하는 직원은 연평균 682명에 불과해 회원권을 필요 이상으로 과다보유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한 기관별로 회원권을 각각 보유하면서 A지사의 직원은 B지사의 회원권을 이용하지 못하게 돼 같은 적십자사 소속이면서도 다른 복지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관리본부 경기혈액원은 연간 1200명이 300일 동안 휴양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지만, 경기혈액원 소속 직원만 해당 휴양시설을 이용해 연평균 이용자가 34명에 그쳤다.

휴양시설 회원권을 보유하는 과정에서도 문제가 제기됐다. 적십자사는 예산을 집행할 때 법정회의를 통해 예산의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휴양시설 회원권 매입에 대한 세부사항에 대해선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예산을 집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제기됐다.

신의진 의원은 "인도주의적 구호사업과 혈액안전관리에 쓰여야 할 예산이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면서 "적정량의 회원권을 정확히 파악해 불필요한 부분은 매각하고 운영비 집행 전반에 대해 투명한 절차가 보장될 수 있도록 지침을 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기기사]

·김정곤 한의사협회장 횡령 논란 들여다보니 [2012/10/16] 
·만성 적자 적십자병원, 임금체불까지 심각 [2012/10/16] 
·20대 취업 준비생, 등산 면접에서 낙방한 이유는? [2012/10/16] 
·의사들이 서류장사로 꼼수부려 '푼돈벌이'? [2012/10/16] 
·국립대의대 교수직, '순혈주의' 심각 [2012/10/16] 

장치선 기자 charity19@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