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칼럼] 당뇨병 환자, 운동할 때 수분 섭취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이문규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당뇨병이 무서운 것은 다양한 합병증 때문이다. 대부분 당뇨발로 인한 다리 절단이나 실명을 부르는 망막 질환을 떠올린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의 사망을 재촉하는 합병증 중 70%는 심혈관 질환이다. 이 같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당뇨병은 대부분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인 비만·고혈압·고지혈증 등을 동반한다. 이 때문에 당뇨병이 없는 건강한 사람보다 뇌졸중·심장마비 등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두 배 높다. 그래서 당뇨병 치료는 혈당 조절보다 심혈관 질환을 포함한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에 맞춰져야 한다.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혈액 내 지질 농도를 관리해야 한다. 혈액 속 나쁜(LDL)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같은 지방성분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고지혈증을 관리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된다. 고지혈증은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가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는 LDL 콜레스테롤 100㎎/dL 미만, 중성지방 150㎎/dL 미만을 유지하도록 권장한다. 이 때문에 지질저하제 를 사용하거나 당뇨병 치료제 선택 시 혈액 내 지질 개선효과가 우수한 피오글리타존 같은 약제를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

 피오글리타존 성분의 당뇨병 치료제는 혈액 속 지방 독성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요구량을 줄여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 베타세포를 보호한다. 또 췌장 기능을 향상시켜 장기간 안정적으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선 적절한 치료제 복용과 함께 식생활 습관 개선이 따라야 한다. 과식을 피하고 저지방식을 섭취하는 게 좋다. 지방질이 많은 육류를 과다하게 섭취하기보다 비타민과 무기질이 많은 채식 위주의 식습관을 가져야 한다.

 당뇨병 환자가 운동을 할 때는 ‘수분 섭취’를 잊지 말아야 한다. 운동 시에는 보통 땀으로 한 시간에 0.75~1L의 수분이 빠져나간다. 수분을 제때 보충하지 않으면 탈수 증상이 올 수 있다. 당뇨병 환자에게 탈수 현상이 발생하면 혈당이 급격히 올라갈 뿐 아니라 심장 박동이 빨라져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인다.

  이문규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