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코덱 MP3 6종 벤치마크 [8]

중앙일보

입력

음악을 들려주는 장치인 MP3 플레이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역시 음질이다. 하지만 음질은 수치나 그래프로 나타내기가 어렵다. 그래서 이번 테스트에서는 오디오 전문가 4명과 함께 청음 테스트를 시도했다. 처음에 5명의 전문가를 섭외했지만, 테스트 도중 한 명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중도 하차하여 4명만 실험에 임했다.

참고

테스트 참가자

윤솔 : 프리챌 DST(디지털 사운드 팀) 동호회 회장으로 모든 디지털 음악은 ''내 손 안에'' 있다고. 하지만 전공은 도자기 미술이다.

강준규 : 세이클럽의 MP3 방송국인 와코캐스트의 부국장. 방송 사회도 겸하고 있는 강준규 씨는 수백 명의 팬을 거느린 언더그라운드 스타. 윈앰프 방송에서는 그를 따를 자가 없다고.

이소라 : 싸이월드의 MP3 방송국인 ''음악이 흐르는 도시''의 운영자. 직업상 하루 종일 음악만 들어야 하는만큼 그녀보다 예민한 귀를 가진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사진 촬영은 NO!

이홍영 : 대림대학교 소프트웨어 개발과 1학년 학생으로 사운드, 특히 MD 사운드에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전문가. MD 소리만 듣고도 제조사를 알아맞힐 정도라고.

블라인드 테스트 방법을 취해, 제품을 가린 채 소리를 듣고 음질을 점수화했다. 먼저 CD 플레이어로 재생되는 음악을 듣고, 이어서 각각의 MP3 플레이어로 재생되는 동일한 음악을 들은 후 테스트 항목에 점수를 매겼다. 또한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동일 장소에서 동일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도록 했다.

테스트 음악으로는 크랜베리스(Cranberries)의 ''Dreams''라는 곡을 사용했는데, MP3 형식 128kbps의 압축률로 인코딩된 것이었다. 음질 테스트시 WMA의 멀티코덱 방식도 동일한 기준으로 테스트하려 했지만, 테스터들이 음질의 차이를 쉽게 구분한데다 MP3 파일보다 음질이 낮다고 판단했으므로 WMA 파일은 테스트하지 않았다.

테스트 항목은 모두 5개였다. ''원곡과의 비교''는 CD의 원곡과 비교했을 때 MP3가 얼마나 근접한 음질을 내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음질''은 CD와의 비교 없이 MP3 자체가 얼마나 좋은 소리를 재생해 내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효과의 분리도''는 이퀄라이저를 작동시켰을 때 음색의 변화가 얼마나 뚜렷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리의 크기''는 MP3 플레이어의 출력 정도와 함께 큰 소리에서도 소리의 왜곡이 없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역별 재생 능력''은 저·중·고음의 세 가지 소리가 각각 얼마나 충실하게 재생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청음 테스트에서 현원의 Dual Play DAH200V에 대해서는 음의 분리도를 테스트하지 않기로 했다. 액정 화면이 제공되지 않아 실제로 어떤 이퀄라이저가 선택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블라인드 테스트에서는 테스터의 개인차에 의해 평가가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수로 평균값을 냈다.

테스트 결과 삼성전자 옙 YP-MF64, 소닉블루 Rio600, 현원 Dual Play DAH200V가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총 5개의 테스트 항목 중 원곡과의 비교와 음질면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제품들이 전체적으로 고른 음색 밸런스를 보였다고 테스터들은 밝혔다.

원곡과의
비교

음질

효과의
분리도

소리의
크기

대역별
재생능력

MPIO-DMG

3

4

4

6.5

4.45

VAROMAN Plus

5

5.5

7

7.5

5.65

옙 YP-MF64

6.25

5.75

4.5

7

6.45

Rio600

6.75

6.25

7.25

7.5

6.1

HipZip

5

4.5

6.5

7.5

5.15

현원DualPlay

7

6

n/a

7.5

5.8

청음 테스트 결과.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로 평균을 냈다. 10점 만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하다. Dual Play DAH200V의 효과 분리도는 측정하지 못했다.

제품

평가

MPIO-DMG

재생시 원곡에 가깝고 대역별 재생 능력도 우수하지만, 소리가 퍼지는 느낌이다.

VAROMAN Plus

고음이 깨끗하고 맑지만 히스음이 다소 들린다.

옙 YP-MF64

저음에 중심을 두어 소리가 풍부하다. 하지만 고음에서는 다소 떨어진다.

Rio600

베이스와 고음 처리도 우수하다. 하지만 저음이 강한 반면 둔탁하다

HipZip

중음에 밸런스가 강조되었다. 소리가 뜨는 느낌으로 가볍다

현원DualPlay

음악적 밸런스는 우수하지만 저음을 보강해야 할 듯

참고

WMA와 MP3의 음질을 구별할 수 있을까?

멀티코덱용 MP3 파일에 사용되는 WMA 파일은 용량이 작으면서도 음질이 좋아 점차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럼 WMA와 MP3 파일 중 어느 것의 음질이 더 좋을까? 일반적으로 MP3 파일은 128kbps로 인코딩되고, WMA 파일은 64kbps로 인코딩된다. 당연히 용량도 WMA 파일이 절반 수준이다. 그렇다면 음질에만 차이가 없으면 WMA는 꿈의 오디오 파일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청음 테스트에서 MP3 파일인지 WMA 파일인지 알려주지 않은 채 각각의 음악을 들려주었을 때 모든 테스터가 음질의 차이를 확인했다. 그리고 MP3가 WMA보다 음질이 좋다고 평가했다. 요컨대 WMA와 MP3는 귀로 구분이 가능할 정도로 확연한 음질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WMA 파일도 음악을 듣거나 영어 학습 자료를 듣기에 충분한 수준이므로, 데이터 분류와 메모리 용량에 따라 파일 형식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

pcBee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