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선 룰 ‘지금대로’ … 한밤에 확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새누리당이 결국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뜻대로 현행 당헌·당규에 따라 대선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비박(非朴) 주자 3인이 요구해온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은 물론 이들에게 ‘퇴로’를 만들어 경선에 참여할 명분을 주자는 취지에서 거론되던 선거인단 증원도 이뤄지지 않았다. 황우여 대표 주재로 열린 2일 심야 최고위원회의의 결론이다.

 이 자리에서 비박근혜계 심재철 최고위원은 대의원 대 책임당원 대 일반국민 대 여론조사의 경선 반영 비율을 기존의 2대3대3대2가 아닌 1대2대5대2로 바꾸고, 선거인단 규모를 20만 명에서 40만 명으로 늘리자고 요구했다. 당원의 반영 비율은 20%포인트 낮추는 대신 일반 국민의 비중을 그만큼 높여 완전국민경선의 효과를 도입하자는 뜻이었다. 정몽준·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의 요구와 박 전 위원장의 입장을 섞은 중재안이었다.

 그러나 박근혜계 최고위원들은 “선거인단 비율을 고치려면 당헌·당규를 바꿔야 하는데 지금 시점에선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거부했다고 한다. 황 대표는 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워낙 의견 차가 컸다”고 밝혔다.

 이재오 의원 측 권택기 전 의원도 “도둑놈들이 야반도주한 것도 아니고 왜 심야회의를 했느냐”며 “황 대표가 9일까지 더 논의하겠다고 해놓고 우리에겐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 ‘어당팔(‘어리숙하지만 당수가 8단’이라는 황 대표의 별명)’에게 완전히 속았다”고 반발했다. 정몽준 의원 측 정양석 전 의원은 “어차피 기대하지도 않았다”고 했다.

 비박 주자들은 이번 주말까지 공동대응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경선 룰은 9일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최종 발표될 공산이 크다.

 권 전 의원은 “이 의원은 ‘49박50일 민생투어’를 4일 끝낸 뒤 숙고에 들어갈 것”이라며 “정치적 행위로 할 수 있는 모든 행위는 다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이재오·정몽준 의원 모두 주말에 산행을 할 예정이어서 두 사람의 산중(山中) 회동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김 지사 측은 다소 온도가 다르다. 한 측근은 “경선 참여는 김 지사 본인이 결정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