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고비용 경제구조 여전"-상의 설문조사

중앙일보

입력

서울지역 제조업체중 절반정도는 기업의 고비용경제구조가 97년 경제위기 때보다 오히려 심화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대한상의(회장 박용성)에 따르면 최근 서울시내 제조업체 316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고비용 경제구조 체감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47.3%가 `고비용구조가 97년보다 심화(45.1%) 또는 매우 심화(2.2%)됐다'고 응답했다.

또 `97년과 비슷하다`는 응답도 44.1%에 달해 기업들 대부분이 고비용 경제구조개선여부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8.6%에 불과했다.

기업경영에 가장 큰 애로를 주는 고비용 요인으로는 원자재가격이 32.8%로 가장많았고 다음으로 물류비용(31.9%), 금융비용(21.3%), 임금(9.6%), 지가(2.5%), 규제(1.9%) 등의 순이었다.

고비용 경제구조에 대한 기업의 체감 개선지수(100점만점, 높을수록 개선)는 원자재가격(33.5)이 가장 부진했고 물류비용(37.25), 금융비용(39.50), 지가(44.75), 임금(45.5) 등도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고비용구조 개선을 위한 과제로 에너지절약 투자에 대한 지원강화, 복잡한 유통구조 개선, 저금리 기조 유지, 연봉제 등 성과급 도입확대, 입지규제 완화 등을 꼽았다.

상의 관계자는 "최근 지가안정, 금리하락 등 비용부담이 다소 줄기는 했으나 97년에 비해 국제유가와 임금이 각각 50%, 18% 상승했으며 매출액대비 물류비도 12%를넘고 있어 기업들의 고비용구조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현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