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2000기술 복수표준 불가피해"-안병엽 정통부장관

중앙일보

입력

안병엽(安炳燁) 정보통신부장관은 10일 IMT-2000기술표준을 업계 자율에 맡기겠다는 당초 정책방향을 변경, 비동기와 함께 동기 방식을 포함시키기로 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국민의 편익과 국가의 장래를 위해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기술표준이 업계 자율로 결정되지 않을 경우의 대비책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혼선을 초래한 데 대해 관련업계와 국민 여러분께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IMT-2000 허가정책의 모든 책임은 장관인 나에게 있다"고 전제한 뒤 "CDMA 주도국가의 하나인 우리가 3세대 이동통신(IMT-2000)에서도 이를 채택,발전시켜야 수출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업자의 이해관계를 떠나 산업의 경쟁력 육성과 소비자 후생 등 국익차원에서 결정했다는 점을 헤아려달라"며 "앞으로 인센티브 부여방안을 업체들과 투명하게 협의, 동기방식을 채택하는 사업자가 나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또 "정보통신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전략산업의 미래를 특정 기술방식에만 의존할 수 없어 이같이 결정했다"며 "이동통신의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관련산업의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표준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주파수정책심의회를 조만간 열어 주파수 할당 공고를 내도록 할계획"이라며 "IMT-2000 서비스 일정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대주주인 한국통신에 대한 영향력 행사 여부에 대해 안 장관은 "정부가 한국통신의 대주주인 것은 사실이지만 똑같은 사업자의 하나로 인센티브 부여방안을 놓고 협의해 나갈 것"이라며 "인센티브는 법령에 위배되지 않고 WTO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