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없이 김정은 '약점폭로' 김정남…"암살 가능"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정남. 사진=중앙포토]

최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남 김정남이 북한 체제를 비난하는 발언을 서슴지 않으면서 전문가들은 암살 등 신변 위협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북한 정권이 그 동안 정권에 비판적인 인사에 대해 암살 등 보복을 일삼았기 때문이다. 최근 북한은 온라인 매체 '우리민족끼리'를 통해 "우리의 최고 존엄(김정은)을 건드리는 자들을 가만두지 않겠다"며 으름장을 놓았다.

9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최근 북한 체제의 취약점을 파헤치는 김정남의 발언 수위가 높아지면서 그의 안전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과거 김씨 일가의 비리를 폭로했던 탈북 망명 인사들에 대한 테러가 수 차례 있었듯, 김정남의 입을 막기 위한 모의가 어떤 형태로든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정일 독재정권의 비리를 폭로하다 희생된 첫 번째 사람은 김정일의 처조카 이한영씨다. 그는 1982년에 한국에 망명해 김씨 일가의 실상을 고발한 『김정일 로열패밀리』라는 책을 펴냈다가 97년 2월 경기도 성남시의 자택에서 북한 공작원에 의해 암살됐다.

97년 한국에 망명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도 생전 끊임 없이 테러 위협을 받았다. 황 전 비서는 북한의 3대 세습이 한창이던 2010년 미국을 방문해 김정은에 대해 '그깟 놈'이라고 표현하는 등 북한 체제를 거침없이 비난했다. 북한은 황 전 비서에 대해 "결코 무사치 못할 것"이라고 협박했고, 북한군 정찰총국이 황장엽 암살조를 파견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최근 김정남이 고미 요지 도쿄신문 편집위원과 주고 받은 e-메일에서 김정은의 약점을 폭로하고 3대 세습을 비난하는 발언을 한 사실이 국내외에 알려지면서 그가 테러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북한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RFA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 북한 문제 전문가는 "북한이 김정남에 대한 테러를 감행할 경우 교통사고 또는 자연사로 위장한 테러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김정남이 목격된 중국 베이징이나 마카오 등에서 암살 사건이 터지면 국제 문제로 비화될 수 있는데다 김정은과 형제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테러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도 있다. 형제간 '피의 비극'은 오히려 3대 세습에 좋지 않다는 의견이다.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그레그 스칼라티우 사무총장은 "중국은 (김정남) 암살 사건이 발생한다면 부정적으로 생각할 것"이라며 "그러나 북한 정권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테러 가능성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