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합병증, 5년 새 60%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당뇨를 앓고 있는 노인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당뇨합병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2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진료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당뇨 환자는 2006년 163만 명에서 지난해 202만 명으로 2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뇨합병증 환자는 더 가파르게 늘었다.

 혈관이 막혀 팔이나 다리의 통증을 수반하거나 발이 썩는 말초순환장애를 동반한 인슐린 비의존 당뇨(이하 말초순환장애 당뇨합병증) 환자는 17만 명에서 27만 명으로 60% 늘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율이 높다. 30대 이하 말초순환장애 당뇨합병증은 2006~2010년 20.8% 증가했지만 60대 이상은 44.7% 늘었다. 또 망막 혈관에 이상이 생기는 당뇨병성 망막병증(網膜病症) 환자는 16만 명에서 21만8000명으로 35.9% 증가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당뇨병보다는 당뇨합병증 환자 증가율이 높았다. 특히 40∼50대의 경우 말초순환장애 당뇨합병증 환자 증가율이 당뇨환자보다 6.5배,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2.2배 높았다. 말초순환장애 당뇨합병증의 진료비는 2006년 807억원에서 지난해 1530억원으로,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327억원에서 505억원으로 54.4% 증가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안철우(내분비내과) 교수는 “당뇨 합병증 환자 증가율이 높은 이유는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당뇨병 병력(病歷)이 오래된 환자(60세 이상)가 늘고 있기 때문”이라 고 말했다.

 만성 합병증은 혈당 관리가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송영득 교수는 “고령화로 인해 오래 사는 당뇨환자들이 증가하면서 만성 합병증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성식 선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