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화장품 시장, 자국·합자·외국산 3파전

중앙일보

입력

-생활수준 높아져 비약적 발전이뤄

중국 경제의 발전과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화장품 시장이 최근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고 중국의 시장보가 보도했다.

80년대 이전 중국의 화장품 생산업체는 50여개사, 연 매출액은 5억위안에 불과했으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90년에 이르러 매출규모가 40억위안에 이르렀다. 이후 90년대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두면서 작년 전국 화장품 총매출액은 285억위안에 달했으며 금년에는 약 20% 성장해 매출액이 340억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자국산, 합자회사 및 외국산 브랜드로 3분되어 있다.

작년말 현재 화장품 생산업체중 합자나 외국인 독자기업이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작년 중국의 화장품 매출액 285억위안 중 중국산 브랜드가 약 40%, 합자와 수입화장품 브랜드가 각각 30%를 차지해 중국산, 합자회사 및 수입산 브랜드가 경쟁하는 국면을 보이고 있다.

중국 화장품 공업의 특성은 외국자본과 생산기술을 이용해 중국 화장품 산업을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90년대이래 국제적으로 유명한 화장품 메이커들이 중국을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판단, 지금까지 총 15억달러를 투자해 합자 또는 독자 화장품 생산기업을 설립, 운영중이다.

이들 기업은 대부분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스위스, 한국의 화장품업체들로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잠식해 나가고 있다. 한편 중국시장 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장품 브랜드의 중국 직접 진출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중국이 WTO에 가입하게 되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전문가 분석에 의하면 현재 중국 화장품 시장 소비층과 브랜드는 기본적으로 3개 소비군으
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고급 수입 유명브랜드 제품의 주요 소비자인 대·중도시의 고임금, 고수입 소비군이
다. 이들은 주로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으로부터 수입한 유명 브랜드를 구매하는데 이
소비군은 도시인구의 1%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인 여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 중국산 유명브랜드를 구매하는 소비층이다. 이 소비군은 중간 수입의 중장년이 많고
도시인구의 약 2.5%를 점하고 있다.

셋째, 농촌시장 위주로 통상 중국산 저가품을 구매하는 소비군이다. 소비인구중 상당한 부분
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촌인구의 약 50%를 점하고 있다.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확대를 위해서는 이와 같이 대별되는 타깃 소비군을 선정해 화장품
인지도 제고 등의 전략으로 나서야 하며 중국 소비자에게는 가격이 구매결정에 중요한 요소
임을 감안해 합리적 가격대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끝.

*본 정보는 한중경제교류중심 제공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