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혁신도시 성공의 열쇠”…경남, LH 일괄이전에 배수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요즘 경남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와 금산면 속사·갈전리 일대는 진주혁신도시 부지 조성공사가 한창이다. 공정이 68%에 이르면서 부지(407만여㎡)윤곽도 드러나고 있다.

 이곳에는 12개 기관이 옮겨온다. 이 가운데 주택공사는 직원 1919명으로, 12개 기관 전체 직원 4636명의 41.4%를 차지한다.

그러나 주택공사가 전북 전주혁신도시에 이전예정이던 토지공사와 통합(LH·한국토지주택공사)되면서 LH 인원은 1508명으로 줄었다. 일괄이전되더라도 직원이 411명 줄어드는 것이다. 경남도·진주시가 “비중이 가장 큰 LH가 분산 이전되면 진주혁신도시가 껍데기만 남는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진주혁신도시에는 주택관리공단·한국시설안전공단 같은 주택관련 기관도 옮겨온다. 전주혁신도시에는 농업관련기관의 이전이 많다.

강경대 진주시 혁신도시지원담당은 “혁신도시 기능이 주택기능군(진주)과 농업기능군(전주)으로 구분되는데도 기존 토지공사 몫만큼 분산이전하자는 것은 혁신도시 취지에도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와 진주시가 LH 본사의 일괄이전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구도권(56)경남도 동남권발전전략본부장은 20일 ‘정부의 LH본사 이전 조기 결정에 대비한 경남도 대응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국토해양부 등의 동향 파악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13명으로 비상대책상황반을 구성했다.

 LH 본사 이전문제는 대통령의 조기결정 지시로 6월에서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돼 경남도가 총력대응을 펴기로 한 것이다.

이에 김두관 지사는 청와대·국회·정부 부처를 방문해 설득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앞서 18일에는 도내 국회의원과 간담회를 열어 지역 정치권의 공동 대응을 강조했다. 이 자리서 일괄이전이 한나라당 당론으로 채택될 수 있게 당 지도부에 건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20일부터는 서울지하철과 KTX (고속철도)의 실내 모니터에 일괄이전 당위성을 알리는 광고를 하루 160회씩 내보낸다. 각종 행사 때 일괄이전 촉구 구호제창과 건배사도 해 분위기를 띄우기로 했다.

 경남도·진주시는 LH 일괄이전 때 국민연금관리공단(직원 573명)을 전북 전주혁신도시에 내줄 수 없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혁신도시 규모가 많이 축소되는데다 지역발전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진주시는 18일부터 시민을 대상으로 도로변 노끈에 ‘LH 일괄이전을 염원합니다’란 리본달기 운동에 돌입했다. 진주에서 서울까지 자전거 행진과 마라톤 대회도 열 계획이다.

이창희 진주시장은 “합리적 해법을 찾기 위해 토론회를 열자”고 전북 측에 거듭 제안했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