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개헌할지 안 할지 G20 끝나는 대로 결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나라당 김무성(사진) 원내대표는 17일 최근 개헌 논의와 관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끝나는 대로 당내에서 논의해 (개헌을) 하든지 안 하든지 빨리 결론을 내겠다”며 “당내 입장 정리를 위한 절차를 밟아 의원총회에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회 차원의) 개헌특위 구성을 올해 안에 해야만 개헌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07년 한나라당·열린우리당(민주당의 전신) 등 6개 정당의 원내대표들이 ‘개헌 문제는 18대 국회 초반에 처리한다’고 합의했다는 점 등을 강조하면서 개헌 필요성을 주장했다. “‘시기가 늦었다’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해서 포기해 버리면 국회의 직무유기”라는 말도 했다. 기자들의 질문에는 이렇게 답했다.

 -청와대 관계자가 개헌 전망을 어둡게 봤는데.

 “개헌은 국회에서 하는 거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도 부정적이다.

 “2007년엔 손 대표도 ‘다음 정부에서 하자’는 입장이었다.”

 -친박계도 비판적인데.

 “박근혜 의원도 4년 중임제 정·부통령제를 원하지 않느냐. 그건 개헌 아닌가.”

 -개헌특위가 연말까지 구성되지 않으면 .

 “노력할 때까지 해보고 안 되면 연말에 맞춰 포기선언을 할 수 있을 거다. 개헌 문제만 나오면 정치권이 벌집 쑤신 듯하니까.”

 김 원내대표의 발언은 이재오 특임장관의 입장과 유사하다. 여권에선 “두 사람 사이에 교감이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하지만 두 사람의 개헌 드라이브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한나라당에서 개헌에 대해 구체적인 안을 먼저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민주당 내 개헌 여건이 성숙할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서로 내부 교통정리가 어려운 상황에서 공을 상대방에게 먼저 넘기고 있는 형국이다. 여권에는 난제가 또 있다. 심야집회를 규제하는 내용의 집시법 개정안 처리 문제다. 야당의 반대에도 여당이 강행 처리한다면 갈등과 충돌의 분위기가 개헌 문제로 옮겨질 수 있다. 연말엔 내년도 예산안 싸움도 있다.

고정애·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