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개혁 첫발부터 삐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의 쇄신작업을 맡기로 한 당 정치개혁특위가 삐걱거리고 있다. 초·재선 의원들의 모임인 미래연대가 29일 사실상의 불참을 선언한 때문이다.

당초 현경대(玄敬大)·홍사덕(洪思德)공동위원장은 이날 인선을 마무리할 예정이었다. 30일 특위를 공식 출범시키기 위해서다. 공동위원장은 리스트까지 만들어 개별접촉에 들어갔다.

그러나 미래연대는 29일 오후 "지금처럼 당이 운영되면 참가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거듭 "특위가 개혁작업은 물론 당의 전권을 장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고위원들이 물러나지 않은 채 주요 현안을 챙기고 있다"고 지도부를 공격했다.

이같은 반응에 洪위원장은 "마음대로 하라"고 불쾌감을 표시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특위 출범은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당초 특위는 30명 내외로 구성키로 했다고 한다. ^정강정책 개편 ^당헌·당규 쇄신 및 전당대회 준비 ^권력구조 개편 등 3개 분과를 둘 예정이라고 관계자가 전했다.

박종희(朴鍾熙)대변인은 "초·재선 소장파를 중심으로 하되 중진의원들의 참여는 최소화한다는 게 원칙"이라며 "지역·연령·성별·선수(選數) 등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래연대측 불참선언이 나오기 전까지의 초안은 ^서울 원희룡(元喜龍)·김영춘(金榮春) ^경기 김부겸(金富謙)·김문수(金文洙)·심재철(沈在哲) ^인천 황우여(黃祐呂)·서상섭(徐相燮) ^충청 심규철(沈揆喆) ^강원 김용학(金龍學) ^대구·경북 권오을(權五乙) ^부산·경남 김형오(金炯旿)·이주영(李柱榮) 의원 등이 유력 후보로 꼽혔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관계자는 "특위가 다룰 사안은 당과 정치개혁과 관련된 사안은 전부"라면서 미래연대의 불참 선언을 비판했다. 지도체제 문제에서부터 차기 전당대회 개최, 원내중심 정당제, 중·대선거구제, 당의 정체성 및 이념 정립 등을 망라하고 있어 할 일이 많다는 것이다.

玄·洪 두 위원장은 "특위 활동을 통해 한나라당이 국민 속에 자리잡는 새로운 당으로 환골탈퇴하도록 노력하겠다"며 "16대에 이어 17대 총선에서도 이길 기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남정호 기자

nam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