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학과 기업 수요 맞춰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앞으로는 대학들이 기업의 인력수요에 맞춰 학과를 새로 만들거나 정원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학에 인력수급과 취업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주(李相周)교육인적자원부 장관 겸 부총리는 24일 청와대에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 주재로 열린 관련 분야 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국가 인력수급 중장기 계획'을 보고했다. 계획은 내년 상반기 중 부처별 세부 추진과제가 확정되는 대로 시행된다. 이는 기업체의 수요에 맞춘 인력공급 체제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기업과 대학이 특정 분야의 인력을 키우기 위해 계약을 통해 학과를 신설할 수 있게 했다.

현재 일부 대학에서 기업체의 수요를 감안해 이공계 전공분야를 중심으로 실시 중인 맞춤식 강좌를 확대, 아예 맞춤식 학과를 설치함으로써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또 대학으로의 산업체 위탁교육, 그리고 기업이 운영하는 사내 대학의 설립도 확대해 산업인력의 재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청소년의 취업을 돕기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경력을 우선하는 최근의 채용 추세를 감안해 학생들이 재학 중 기업체에서 인턴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학점당 등록제·다학기제·현장실습학기제 등의 도입이 그것이다.

이번 계획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2010년까지 3백만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드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만들어졌다.

김남중 기자

nj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