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 철책 걷고 우회로 건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자유로변 한강 하류에 설치된 군 철책을 걷어내고 강변도로를 놓자. "

최근 김포시가 자유로변 철책의 일부를 철거하기로 한 가운데 올 1월부터 '철책 걷어내기 시민운동'을 전개 중인 일산 신도시 입주자대표협의회가 한걸음 더 나아가 강변도로 건설을 요구하고 나섰다. 또 고양·김포·파주시 등 3개 자치단체장들도 최근 모임을 열고 자유로변 군 철책 철거를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강변도로 건설 촉구=채수천(蔡壽天·59) 일산신도시 입주자대표협의회 총회장은 "일산과 서울 강변북로를 잇는 왕복 10차로의 자유로는 출퇴근 시간이면 차가 밀려 주차장으로 변한다"며 "철책을 걷어낸 강변 둔치에 왕복 6차로 규모의 자유로 우회도로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럴 경우 교하·운정지구 등의 교통난도 해결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협의회는 이와 함께 우회도로변 한강 둔치에 자연생태공원을 비롯해 체력단련장·놀이동산·주차장 등을 건설해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협의회는 이를 위해 금명간 주민 서명운동을 벌여 국방부 및 경기도·고양시 등에 건의서를 보내기로 했다.

◇철책 철거 위한 자치단체들의 노력=고양·김포·파주시는 철책을 철거한 뒤 파주시 교하읍 자유로∼김포시 제방도로 간 한강을 가로지르는 지역에 군 전용 순찰로의 가설과 감시장비 설치 방안 등을 검토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

이들 자치단체는 용역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합동 추진기구를 만들고 국방부·건설교통부와 경기도 등 관련 기관에 협조를 의뢰하기로 했다.

특히 철책이 철거되면 유휴지를 활용,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주민휴식 및 체육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군의 협조로 이번 계획이 실현되면 한강 하류 김포 제방도로 쪽과 고양·파주 자유로 쪽에 설치된 군 철책선 20∼30㎞가 걷히고 6·25전쟁 이후 반세기 만에 한강 하류의 자연생태 공간이 주민 품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해당 군부대 측에선 "군의 작전 개념상 현재로서는 철책 철거가 어렵다"고 했다.

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