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측 합당론 제의… 단일화 새 변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 노무현(盧武鉉)후보 측이 국민통합21 정몽준(鄭夢準)후보 측에 합당을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盧후보 측은 8일 鄭후보 측에 정당법상 둘 이상의 정당이 새 당명(黨名)으로 통합하는 신설(新設)합당을 제의했다고 한 관계자가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盧·鄭 두 후보가 각각 민주당과 통합21을 탈당해 양측이 공동창당준비위를 구성하고 창당해 단일화 경선을 치르자는 내용이다. 盧후보 측은 두 후보가 24일까지 국민참여경선을 벌여 후보를 단일화하고→민주당과 통합21은 형태만 남은 채로 존속되며→신당으로 대선을 치르고 난 뒤→3개월 이내에 신당과 민주당·통합21이 신설합당을 한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고 한다. 이는 민주당 선대위 내부 협상안에서 확인됐다.

이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도록 한 이유는 현행 정당법 때문이라고 한다. 盧후보 측은 완전개방형 국민경선제를 주장해오다 법적·현실적 문제점이 발견되자 아예 당 대 당 통합안을 마련했다.

민주당 노무현 후보측의 단일화 협상 밑그림이 드러났다.

盧·鄭 두 사람이 민주당과 통합21의 후보로 나와 겨루는 것이 아니라 두 당을 탈당해 신당을 먼저 만든 뒤 국민참여경선을 벌이고, 대선 후 하나로 합치는 방식('신당 창당 후 경선, 대선 후 신당·민주당·통합21의 합당')이다.

'신설 합당'을 제안한 이유는 두 당이 존속하는 상태에서의 국민경선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 서로 다른 두 당이 합동으로 후보를 선출하는 정당대회를 열 수 있는지는 법적으로 분명치 않다. 아예 법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대선 한달 전인 오는 18일부터는 정당집회가 불가능하다. 18일 이전까지 완전 개방형으로 국민경선을 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한 정당의 후보선출대회는 후보 등록일(26일)전까지 허용된다. 18일 이후에도 경선이 가능한 만큼 다소 시간을 벌 수 있다.

대선 후 합당을 완료하자고 한 것은 지구당위원장 배분문제 때문이다.

1997년 대선 당시 이회창(李會昌)후보의 신한국당과 조순(趙淳)후보의 민주당도 신설합당식으로 통합했다가 대선 이후 지구당 문제를 해결했다.

통합과정에서 후보 단일화를 위한 경선은 당원과 일반 국민 가운데서 선거인단을 모집해 추첨한 뒤 치른다는 구상이다. 단일화를 위한 경선까지의 타임 스케줄도 마련했다.

▶두 후보측 인사들로 신당창당준비위·합당수임기구 구성(1일간)▶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선관위 구성(1일간)▶당원 및 국민선거인단 공모(5일간)▶법정지구당 창당 완료(2일간)▶당 선관위, 선거인단 추첨(1일간)▶선거인단 통보 및 안내(4일간)▶오전 신당 창당대회 및 오후 경선(1일간) 등의 일정이다. 9,10일 중 합당원칙에 합의하면 오는 24,25일께 초고속으로 후보선출이 가능하다.

강민석 기자

ms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