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風 되살리기' 최우선 과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통합21이 5일 창당대회를 열고 정몽준(鄭夢準)의원을 대통령후보로 공식 선출했다. 이로써 '정몽준호(號)'가 국민통합과 정치개혁을 기치로 내걸고 대선을 향한 본격 항해에 나서게 됐다.

하지만 시작부터 숱한 암초를 헤쳐가야 할 상황이다. 지지도 반등, 후보 단일화 협상, 세(勢)확보, 구체적 정책 마련 등 어느 것 하나 쉬운 과제가 없다.

우선 급격히 낮아진 지지도를 하루빨리 끌어올려야 한다. 鄭후보의 거의 유일한 버팀목은 국민적 지지도였다. 따라서 이대로 1강2중 구도가 고착화되고 민주당 노무현(盧武鉉)후보에게 2위 자리마저 내주게 된다면 걷잡을 수 없이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후보 단일화 협상도 시급한 난제다. 鄭후보의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예전처럼 지지도에 의한 단일화만 여유로이 주장할 수는 없게 됐다. 시간도 촉박하다. 만약 지지부진한 공방만 계속하다 결렬되면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게 될 게 뻔하다.

현역 의원을 적극 영입해 이미지 정치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현재 鄭후보 참모들의 대부분은 정치경험이 일천해 대선을 치르기엔 역부족이란 말이 나온다. 그의 강점인 참신한 이미지를 조직과 인물이라는 '세력'으로 현실화하지 않고서는 치열한 막판 선거전을 버티기 힘들 거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9월 출마선언과 10월 창당발기인대회에 이어 이날 창당대회까지 수차례 계기가 있었음에도 현역의원들을 끌어들이지 못한 것은 鄭후보 리더십의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 것이란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인 정책을 국민들에게 제시하면서 수권정당으로서의 면모도 과시해야 한다. 이와 관련, 전성철(全聖喆)정책위의장은 "창당에 맞춰 '정몽준 프로그램'을 하나 둘씩 선보일 계획이며, 글로벌 스탠더드가 그 기본 방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鄭후보는 이날 제1탄으로 교육정책을 선보였다. 그는 "교육에 대한 자치권을 지역 주민에게 돌려주고 교육부는 실질적으로 폐지돼야 한다"며 "모든 국립대학을 도립화해 서울대도 서울시에 소유권을 넘기겠다"고 밝혔다.

통합21은 잇따른 정책대안 제시를 통해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포말(泡沫)정당이란 의구심을 씻겠다는 구상이다. 鄭후보가 후보 수락연설에서 "국민통합21은 이번 대선만을 위해 태어난 정당이 결코 아니며, 21세기를 이끌어갈 개혁정당으로 계속 커갈 것"이라고 주장한 것도 이런 차원이다.

鄭후보 측은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정면돌파로 승부를 걸겠다는 자세다. 鄭후보의 핵심 측근은 "앞으로 열흘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모든 당력을 모아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신홍 기자

jbje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