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98%·서울 74% "신호등 안전 부적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가로등뿐 아니라 교통신호등도 누전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주말 폭우 때 감전 추정 사망사고가 집중됐던 서울.인천지역 신호등의 안전 부적합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아 가로등과 함께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전국 1만7천9백63개의 신호등 중 4천5백10개를 점검한 결과 밝혀졌다. 점검한 신호등의 57.6%인 2천5백96개가 '안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가로등은 8천7백55개 중 3천3백96개(39%)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측은 이같은 내용의 '전기설비 점검 현황' 을 최근 국회 재해특위 현장조사반(반장 金泳鎭의원)에 제출했다.

◇ 누전에 노출된 수도권 신호등=특히 인천의 경우 올해 점검 대상 8백33개 중 98%인 8백13개가 부적합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적합 사유는 ▶누전차단기 미설치▶접지 불량▶전선 노후화 등이다. 인천지역에서는 지난 폭우 때 4명의 감전 추정 사망사고가 발생했었다.

12명의 감전 추정사를 낸 서울의 신호등 부적합률도 74%(1천6백96개 중 1천2백62개)로 높았다.

반면 전북.광주 등은 '부적합 신호등' 이 한개도 없었으며, 대구(5.7%).경남(12.8%).충북(19.8%)도 부적합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기안전공사측은 "누전차단기가 설치될 경우 신호등의 전원이 자주 꺼져 교통체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관리 주체인 경찰이 설치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고 지적했다.

◇ 감전사 원인 놓고 분석 중=이와 관련,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이번 감전사고의 주 원인이 가로등인지, 신호등인지에 대해 관련 기관간 논쟁 중" 이라며 "특히 가로등과 신호등이 인접한 경우 판단이 어려워 전문기관을 통해 정밀분석을 하고 있다" 고 밝혔다.

한편 경찰청 관계자는 "수도권지역에는 노후 신호등이 많아 안전 부적합률이 높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할 경우 신호등이 자주 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노후 전선을 모두 교체해야 한다" 며 "작업이 마무리되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 이라고 말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