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김정일 답방뒤 뭔가 나올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안기부 자금 수사가 전편(前篇)이라면, 북한 김정일(金正日)위원장의 서울답방이 후편이 될 것이다."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의 한 측근은 28일 "여권이 짜고 있는 정권 재창출과 대야(對野) 압박 카드를 李총재는 이렇게 판단, 정리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그는 "李총재의 오랜 장고(長考)의 한복판에는 金위원장의 답방을 비롯한 남북문제가 자리잡고 있었다" 고 설명했다.

29일 李총재가 YS를 방문했을 때는 물론 26일 지도위원 및 부총재들과의 모임에서도 이 문제가 많이 거론됐다고 한다.

李총재는 "김대중 대통령은 올봄 金위원장과의 서울 정상회담을 집권 후반기의 안정적 관리와 정권 재창출의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로 삼을 것" 이라고 진단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대북문제에 관해 지금 같은 피상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준비를 해달라" 는 주문을 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총재실 관계자는 "여권은 안기부 자금 수사에다 서울정상회담 등 다양한 카드로 우리 당을 압박해올 것" 이라며 "金위원장의 서울방문을 전후해(여권의) 본격적인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가동될 것" 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29, 30일 열리는 원내.외 지구당위원장의 연찬회에서도 이 문제을 분임토론의 우선 순위로 삼아 당론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李총재는 대북문제의 원칙으로 다듬어온 '전략적 상호주의' 를 구체적으로 적용할 생각이라고 한다.

당내 일부 초.재선 의원들이 거론하는 보안법 개정 문제에 대해 남북관계 진전과 연계해 처리돼야 된다는 입장을 연찬회에서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당 관계자는 이를 '보안법과 관련한 전략적 보수' 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6월 남북 정상회담 때 李총재의 태도가 다소 모호했다는 지적이 이번에는 나오지 않을 것" 이며 " 엄격한 상호주의를 내세우는 미국 부시 행정부 출범으로 李총재의 대북 접근 자세가 탄력을 받을 것" 이라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미국을 방문했던 이부영(李富榮)부총재는 "대북정책과 관련해 우리 정부와 부시 행정부의 간격이 있다" 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