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22~23일 세종시 당론 변경 의총 소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여권이 짧은 설 연휴를 끝내고 세종시 문제로 또다시 갈등을 빚었다. 세종시 당론(원안)을 변경하기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두고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가 충돌한 것이다.

◆“18일 의원총회 소집요구서 제출”= 16일 친이계 최대 모임인 ‘함께 내일로’ 소속 의원 40여 명은 서울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워크숍을 열고 세종시 의총 소집을 요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정태근 의원은 세종시 당론 변경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는 “18일 오전까지 의원총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해 다음주 초인 22~23일 중 첫 의총을 열도록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론 변경) 논의는 가급적 3월 말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 전까지 매듭짓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도 이날 라디오연설에서 “논의 자체를 기피하거나 거부하는 것은 정말 답답한 일”이라며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대화로 풀자”고 말했다. 의총 소집권자인 안상수 원내대표는 “당헌이 정한 요건에 따라 소집을 요구하면 의원총회를 여는 게 의무”라며 의총 소집을 기정사실화했다.

친이계가 의총을 서두르는 것은 표 대결을 밀어붙일 경우 당론 변경도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당내 의석 분포는 ▶세종시 신안 찬성 의원이 약 100명 ▶원안 고수가 50명 내외 ▶유보가 20명 정도다. 이 중 당론 변경 선(재적의원 3분의 2인 113명)에 모자라는 10여 명은 추가 설득이 가능하다는 게 친이계의 계산이다.

친박계는 의원총회 토론에는 참여해도 표결은 반대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표결이 성사될지는 불투명하다. 이정현 의원은 “토론은 얼마든지 참여해 세종시 백지화의 부당성을 알리겠다”면서도 “민주적 절차로 결정된 기존 당론을 폐지하는 표결은 무의미하다”고 반대했다. 서병수·현기환 의원은 “의총을 열어 당을 내전 상태로 만들 게 아니라 국회 상임위와 본회의에서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두 사람이 속한 국회 기획재정위와 국토해양위는 친박계 의원이 많아 표결을 해도 세종시 신안이 부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야당, ‘세종시 국정조사’ 요구=민주당·자유선진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등 야 5당은 이날 세종시 수정 추진 관련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과반이 넘는 한나라당의 지도부가 즉각 반대하고 나서 야당 주장대로 실시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정효식·백일현·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