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각계의 바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분단 후 첫 남북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2일 각계 인사들은 회담이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교류를 활성화하는 초석이 되길 간절히 소망했다.

하지만 한꺼번에 모든 것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므로 성급한 기대감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 시민.사회단체〓주부 김효선(48)씨는 "인도주의에 초점을 맞춘 회담이 되길 바란다. 특히 이산가족들이 자유롭게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고 희망했다.

회사원 김경호(35)씨는 "두 정상이 서로 만난다는 것 자체에 큰 의미를 두고 싶다" 며 "아울러 남북 긴장 분위기가 조성돼 정치안정과 주가상승으로 이어졌으면 한다" 고 말했다.

참여연대 박원순(45)사무처장은 "2002년 월드컵 남북 단일팀 구성과 이산가족 문제 해결방안 등에 대한 폭넓은 합의가 이뤄지길 바란다" 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기대한다" 고 밝혔다.

경실련 통일협회 차승열(31)부장도 "이산가족.장기수 송환문제 등 분단이 빚어낸 비극을 남북이 주체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길 기원한다" 고 말했다.

◇ 학계〓고려대 배종대(법학)교수는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라는 오명을 벗어던질 수 있는 전기가 될 수 있을 것" 이라며 "김대중 대통령의 북한 방문은 1970년대 서독의 브란트 총리가 동독을 방문했던 것과 비견할 만한 의미가 있다" 고 평가했다.

서강대 손호철(정치외교학)교수는 첫 만남의 의미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앞으로 우리 내부의 결속을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교류 확대를 추진해야 할 것" 이라고 지적했다.

이경남 전 동화연구소장은 "한번에 모든 일이 풀릴 것처럼 생각해서는 안된다" 며 "회담이 끝난 뒤 주변 강대국의 움직임까지 분석해 가며 차분하게 풀어가야 결실을 볼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 기업인〓비트컴퓨터 조현정(43)대표는 "개방의 빗장이 풀리면 벤처기업들의 활동이 왕성한 우리로서는 지식.기술 제공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적 교류를 이룰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터보테크 장흥순(40)대표는 "북한은 과학분야, 특히 생명공학이 발달돼 있어 우리 벤처기업들과 결합한다면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할 것" 이라며 "우리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북한에서 빛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고 밝혔다.

◇ 성공기원 행사〓남제주군 성산읍 청년회는 13일 한반도 동쪽 끝인 독도에서 민족통일의 염원을 담은 넙치 치어 1만1천여마리를 바다에 방류할 예정이다.

독도연대회의(대표 김봉우)는 13일 태어나는 아이들을 상대로 추첨을 해 '독도를 남과 북이 지켜내고 우리 후손에게 길이 물려준다' 는 뜻에서 e-메일 주소를 증정할 계획이다.

이북5도민 경북도연합회 회원 1백여명은 12일 오전 10시 구미시민복지회관에서 결의대회를 갖고 8백만 이산가족 재회 등을 기원했으며, 새마을운동 목포시지회 소속 회원.시민도 회담 성공 기원 자전거타기 행사를 가졌다.

사회부.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