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류탄 특검제 협상…절충안 놓고 여야 줄다리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종필 (金鍾泌) 총리의 전면적 특별검사제 수용발언으로 특검제 협상이 급류를 타고 있다.

협상에 물꼬를 튼 것은 자민련 강창희 (姜昌熙) 총무다.

그는 4일 여야 총무접촉에서 "파업유도 의혹사건 외에 옷 로비 의혹사건을 추가, 특검제를 수용하자" 는 절충안을 꺼냈다.

국민회의가 기존 입장에서 후퇴, 옷 사건에 대한 특검제를 추가로 받아들이는 대신 한나라당도 옷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포기, 서로 한발씩 양보하는 선에서 절충점을 찾자는 것이다.

여당으로서는 기존입장에서 양보한 카드다.

하지만 야당의 시각은 다르다.

한나라당 이부영 (李富榮) 총무는 "말로만 전면도입일 뿐 사실상 한정수용" 이라며 반발했다.

아직 여당의 진의에 대한 의구심이 가셔지지 않은 모습이다.

"국민회의 김영배 (金令培) 총재권한대행이 金총리의 국회답변을 막기 위해 백방으로 뛰었다는 소리가 있다"

"총리도 파업유도.옷 로비 의혹사건을 특검제 하는 것을 전면적 특검제로 생각하고 있다더라" 며 3년 한시법의 특검제 전면실시와 파업유도.옷 로비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라는 기존 당론을 고집했다.

이에 대해 국민회의도 "파업유도 의혹사건에 한해 제한적 특검제를 실시한다는 당론에 변함이 없다" (孫世一총무) 며 일단 제안을 거절했다.

외견상 결렬이다.

문제는 야당의 선택이다.

야당이 절충안을 받아들인다면 협상은 급진전을 이루겠지만, 거부할 경우엔 복잡해진다.

여당은 "절충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특검제를 전면 제도화해 4대 의혹 사건뿐 아니라 총풍.세풍 등에 대해서도 특검제를 실시하자" 며 맞불작전을 펼 참이다.

야당도 강경파의 주도로 장외투쟁 등 전면전으로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여야 모두 부담이 있다.

협상이 지지부진하고 장기화될 경우 여론의 비난이 쏟아질 게 뻔하기 때문이다.

양측 다 협상 테이블을 박차고 일어서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여당은 방미 (訪美) 중인 김대중 대통령 귀국 (7일) 전에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로선 대화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고, 그래서 5일의 총무회담 결과가 주목된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