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대화가 뭔지는 김정일만 알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양자·다자 대화 의향’ 보도를 접한 청와대와 정부 당국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위기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정확한 언급 내용이 무엇이고, 거기에 숨은 뜻이 뭔지는 좀 더 기다려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다자대화가 뭔지는 김정일 위원장만 아는 것”이라며 언급 자체가 곧바로 ‘6자회담 복귀’ 쪽으로 해석되는 걸 경계했다. 외교부 당국자도 “양자와 다자대화로 해결할 용의가 있다는 것일 뿐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렵다”며 “다자가 6자회담이라고 볼 근거는 없다”고 설명했다.

당국자들은 김 위원장의 언급 내용 자체는 일단 사실일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관계자는 “신화통신의 보도는 중국 정부 발표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김 위원장의 정확한 발언과 배경을 파악하느라 분주했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 정부로부터 외교 경로를 통해 다이빙궈 국무위원의 방북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들어봐야 김 위원장의 발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와 정부의 이런 신중한 기류는 최근 잇따른 대남·대미 유화 공세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진정성’을 의심할 구석이 적지 않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넉 달 전 핵실험을 감행한 뒤 대남 도발 위협을 가하던 북한이 갑자기 태도를 바꾼 배경이 미심쩍다는 것이다. 특히 북핵 문제와 관련한 한·미·일 공조의 틀이 자칫 북·중 간의 의기투합으로 헝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상황도 감지된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