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노사정위 탈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재계가 정부의 노조 (勞組) 전임자 임금지급 허용 방침 등에 반발, 16일 노사정위원회 탈퇴를 전격 선언했다.

노동계에 이어 재계까지 탈퇴함으로써 노사정위는 출범 1년여만에 존폐 위기를 맞게 됐으며, 이로 인해 올 노사관계가 심각한 대립 국면으로 치닫게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날 오전 서울 조선호텔에서 주요 기업 인사.노무담당 임원회의를 열고 참석자 만장일치로 탈퇴를 결의했다.

경총 조남홍 (趙南弘) 부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재계는 더 이상 노사정위에 잔류할 이유와 명분이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오늘부로 모든 노사정위 활동을 중지키로 했다" 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노사정위에서 뛰쳐나간 노동계를 복귀시키기 위해 원칙을 도외시한 채 노.정만의 합의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은 심히 유감" 이라고 지적했다.

趙부회장은 "특히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조항 개정을 전제로 한 노.정 합의는 노사정위의 기본정신을 저버리는 일" 이라고 비난하고 "위원회가 사회적 합의기구로서 기능을 못하는 지경에 이르러 탈퇴키로 했다" 고 덧붙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도 이날 "경총 결정을 따르겠다" 며 동반 탈퇴의 뜻을 밝혔다.

재계는 당정이 노총의 위원회 탈퇴를 막기 위해 노동계가 요구해온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관련법 개정과 근로시간 단축 등을 수용키로 결정한데 대해 강력 반발해 왔다.

차진용.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