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개선대책 풀어야 할 과제는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추진하는 데 걸림돌도 만만찮다.

제2경부고속도로 중 성남시 구간은 남한산성 도립공원을 지난다. 국토해양부와 한국도로공사는 남한산성을 지나는 구간 전부 또는 일부를 터널로 연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정부는 경기도 성남시 을지대학교에서 제2경부고속도로 사전 환경성 검토 초안 주민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약사사 주지 혜안 스님은 “지하수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안 된 상태에서 계곡을 터널과 관통하면 수맥이 끊겨 계곡물이 고갈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일부에서는 GTX와 고속도로 건설로 경기도의 땅값이 들썩이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배후 도시와 거론되는 GTX 역 주변 아파트나 땅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설명이다. 특히 일부 지역 아파트는 주변에 GTX 정차역이 건설된다는 소문이 나돌며 아파트 시세가 연초보다 최고 20% 이상 높게 형성됐다. 벌써 GTX 정차역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유치전을 벌이는 곳도 있다.

경기도 전역이 GTX 유치로 한바탕 홍역을 치를 가능성도 엿보인다. 의정부와 군포지역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28일 의정부~군포 노선의 조기 착공을 위한 범시민 운동을 펴기로 하는 등 각 지역의 유치 압박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재원 조달도 걱정거리다. 국토해양부 도시광역교통과 박명주 서기관은 “민자(民資)로 건설되는 제2외곽순환도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업시행자가 돈을 대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다”고 말했다. 사업시행자는 토지공사와 경기도다. 광역급행철도도 2조원으로 추정되는 사업비 중 8000억원은 동탄2신도시 사업시행자인 토지공사와 경기도시공사가 부담하고, 나머지는 민자로 개발해 재원 조달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김기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