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뉴GM 체제의 GM대우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11일 단 40일 만에 파산보호를 졸업하고 뉴 GM으로 출범한 것은 미 정부의 자동차 산업 회생에 대한 의지를 보여 주는 대목이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고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자동차 산업 회생을 위해 신속한 뉴 GM 출범을 강력히 요구했었다.

GM대우는 하반기 출시할 글로벌 경차의 초기 품질 강화를 위해 ‘품질 클리닉’을 11일 실시했다. 고객들이 품질담당 직원과 함께 차량을 점검하고 있다.

크라이슬러 학습 효과도 있다.

GM보다 두 달 먼저 파산보호를 신청한 크라이슬러가 채권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역시 40일 만에 ‘클린 컴퍼니’로 재기했었다. 전문가들은 크라이슬러의 파산 규모보다 배 이상 덩치가 더 큰 GM이 파산보호에서 벗어나는 데 최소 석 달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했었다. 뉴 GM은 출범과 동시에 재기의 신호탄으로 중국 시장과 친환경차를 조준했다. 올해 GM의 글로벌 판매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한 곳은 중국이다. 뉴 GM은 2012년까지 중국에 200만 대를 판매해 중국 승용차 시장의 20%를 점유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올해 상반기의 경우 중국에서 이미 81만4442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다. 연말까지 150만 대가 목표다. 또 내년에는 양산 전기차인 시보레 볼트를 출시해 취약했던 친환경차 이미지를 보강하겠다는 복안이다,

◆GM대우 회생 가닥=미국 본사인 GM의 파산보호 신청으로 앞날이 불투명하던 GM대우에도 반가운 햇살이 비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클 그리말디 GM대우 사장은 11일 “우리는 뉴 GM의 글로벌 경차 및 소형차 개발기지로서 역할을 수행해 나가면서 시보레 브랜드 판매 확대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수 확대와 GM코리아의 캐딜락 브랜드 판매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GM대우가 생산하는 모든 차량은 시보레 브랜드로 GM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팔린다.

특히 GM대우 초대 사장을 지낸 닉 라일리 GM 아태본부 사장이 중국 상하이에 신설된 GM인터내셔널 부사장으로 임명돼 힘을 받게 됐다. 중국에서 팔리는 GM 차량 가운데 60% 이상이 GM대우가 완성차 또는 현지조립방식(CKD)으로 수출한 차량이다. 하지만 GM대우는 뉴 GM의 수출망이 제대로 가동되려면 최소 6개월 걸릴 것으로 보고 내수 증진과 중국 수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GM대우가 상반기 50%에서 맴돌았던 공장 가동률을 하반기 70%까지 끌어올리려면 내수 확대가 최우선 과제다. 이를 위해 주력 딜러인 대우차판매 이외에 직영판매망과 대형 딜러를 새로 뽑기로 했다. GM대우의 상반기 내수 판매는 4만5045대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해 시장 점유율이 10% 이하로 떨어졌다. 이 회사 관계자는 “1990년대 대우자동차 시절 내수 점유율이 최소 25%를 차지했던 것에 비춰 20% 목표는 불가능한 수치가 아니다”며 “직영판매망을 늘리고 중대형 딜러를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GM대우는 2, 3년 내에 국내에서 시보레 브랜드로 차량을 병행 판매하는 것도 검토하기로 했다. ‘대우’ 브랜드는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출고할 때 고객이 원할 경우 시보레 마크를 붙여 준다는 것이다.

◆상품성 강화 승부=뉴 GM의 프리츠 헨더슨 최고경영자(CEO)는 비전으로 “고객이 원하는 차를 만들어 판매를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올 초 은퇴했던 상품개발의 귀재 밥 루츠가 제품 및 고객담당 부회장으로 복귀했다. 그는 2004년부터 GM 상품을 총괄하면서 캐딜락CTS와 시보레 크루즈(라세티 프리미어), 비츠(마티즈 후속), 볼트 등을 개발했었다.

김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