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서리체제 위헌소송 각하]엇갈린 정치권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헌법재판소의 각하 (却下) 결정에도 불구하고 국무총리서리 위헌논쟁은 여전히 정치권의 불씨로 남게 됐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당연한 귀결" 이라며 환영한 반면 한나라당은 헌재의 존폐문제까지 들먹이며 "총리서리 위헌주장은 유효하다" 고 주장했다.

◇ 여권 = "위헌시비 자체가 정치공세였음이 입증됐다" 며 재표결을 통한 임명동의안 처리를 촉구했다.

양당은 "애초에 무리한 시도였으므로 충분히 예측가능했던 일" (辛基南 국민회의대변인) , "총리서리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金昌榮 자민련부대변인) 고 한 목소리를 냈다.

또 "김대중대통령의 '실질적인 러닝메이트' 였던 김종필 (金鍾泌) 총리의 인준을 거부한 것 자체가 다수당의 횡포였음을 입증한 것" 이라며 "즉각 총리인준에 나서라" 고 야당을 압박했다.

◇ 한나라당 = 헌재결정을 "정권의 이익을 돕고 여당의 재.보선전략을 추종하기 위한 수단" 이라고 깎아내렸다.

"헌재가 더 이상 위헌을 판결할 양식과 용기가 없음을 확인한 셈" "헌재가 권한을 회피했기 때문에 우리당의 위헌주장은 정당성을 갖고 있다" (金哲대변인) 고 비난했다.

또 "예산심의때 헌재의 예산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중.장기적으로 존폐문제를 검토키로 했다" 고 벼르기도 했다. 형평성 문제도 제기됐다.

율사출신인 현경대 (玄敬大) 의원은 "96년 12월 노동법 파동당시 국민회의의원들이 제출한 권한쟁의청구는 받아들이고 같은 사안인 이번 건에 대해서는 '의원 개개인은 청구자격이 없다' 고 결정한 것은 헌법수호의 최고기관으로서 임무를 포기한 것" 이라고 비난했다.

김영선 (金映宣) 의원도 "헌재가 판단을 거부한 것은 국회내에서 물리적으로 해결하라는 뜻으로, 결국 폭력정치를 조장하는 격" 이라고 비판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