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고 신청한 서울 3개 학교 “신입생 추첨제 싫다” 철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서울 지역에서 자율형사립고(이하 자율고) 전환을 신청한 일반계 사립고 33곳 중 3곳이 전환 신청을 철회한 것으로 17일 확인됐다. 세 곳은 미림여고·대원여고·인창고다. 자율고 신청을 자진 철회한 것은 처음이다. 또 이날 경기도교육청이 79개 일반계 사립고를 대상으로 자율고 전환 신청을 마감한 결과 안산동산고 한 곳만 신청서를 제출했다. 도 교육청은 5~7곳이 신청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이에 따라 정부가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추진 중인 자율고 정책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자율고는 이명박 정부의 핵심 교육정책 중 하나다. 학교장에게 교육과정 편성권과 교사임용권 등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는 학교다.

서울시교육청은 “세 학교가 ‘제반여건 미비’ 등의 이유로 이달 초 신청포기서를 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본지 취재 결과 이들 학교는 “추첨으로 학생을 뽑아야 하는 등 학생선발권이 제약돼 전환에 매력을 못 느낀다”고 설명했다. 미림여고 고세연 교장은 “학생을 마음대로 뽑을 수 없으면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동력이 떨어진다”며 “내년부터 일반고를 대상으로 학교선택제를 시행하는 상황에서 자율고로 전환하는 것은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재단 측에서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과 교육과학기술부는 자율고 입시에서 중학교 내신성적이 일정 수준(상위 50% 내) 이상인 학생들 중 추첨으로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전국 50여 개의 사립고가 전환 신청을 냈다. 교과부는 지역교육청과의 협의를 거쳐 7월 말까지 자율고 지정을 마칠 계획이다. 목표(30곳) 달성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종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