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97년 고용동향 분석…근로자 46%가 임시·일용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불황에다 국제통화기금 (IMF) 한파 (寒波)가 겹치면서 지난해 고용사정이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은 물론, 취업자 중에서도 상용 (常用) 근로자는 줄고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 매출부진에 따라 조업을 단축하는 기업이 늘면서 작년 취업자의 평균 근로시간도 주당 51.3시간으로 지난 80년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중화학 취업자가 사상 처음 감소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97년 고용동향' 에 따르면 작년 실업자는 55만6천명으로 86년 (61만1천명) 이후 가장 많았다.

◇ 임시.일용직이 늘고 있다 = 작년 임시직 근로자는 연평균 4백20만4천명. 96년보다 33만5천명 (8.7%) 이 늘어났다.

일용직 근로자도 1백89만명으로 96년보다 9만3천명 (5.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6백9만4천명으로 전년대비 42만8천명이 늘었다.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임시.일용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95년 42.1%에서 ▶96년 43.4% ▶97년 46.1%로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반면 상용 근로자는 7백13만3천명으로 96년에 비해 3.3% (24만4천명)가 줄었다.

◇ 근로시간이 줄고 있다 = 작년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51.3시간. 96년 보다 0.9시간 줄었다.

특히 주당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인 근로자가 1백54만6천명으로 24만8천명 (19.1%) 이나 늘어난 반면 54시간 이상 취업자는 같은 기간 47만8천명이 줄어 대조를 이뤘다.

◇ 사회 초년생의 취업이 안된다 = 불황의 여파로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대폭 줄이면서 학교를 졸업하고 막 사회에 발을 들여놓은 고졸.대졸 실업이 크게 늘었다.

작년 실업자 55만6천명중 직장에 다니다 일자리를 잃은 전직 (轉職) 실업자는 31만9천명으로 96년에 비해 23.2%늘었지만 사회 초년생등 신규실업자는 23만7천명으로 같은 기간 43.6%나 증가했다.

특히 96년까지 감소세였던 여성 신규실업자는 지난해 3만9천명이 늘어 전년에 비해 63.9% 증가했다.

한편 실업률은 95.96년 2%에서 작년에는 2.6%로 껑충 뛰었다.

◇ 중화학공업 취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 그동안 경공업 부문에서 나온 실업자를 꾸준히 흡수해온 중화학공업 분야에서도 작년에는 취업자가 5만5천명이나 감소했다.

중화학공업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사상 처음이다.

또 건설.음식.숙박.도소매등 고용을 주도해온 사회간접자본및 기타서비스업 취업자수도 작년 4.1% 늘어나는데 그쳐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

◇ 노년층 취업자는 오히려 늘고 있다 =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20대초반은 큰폭 줄어든 반면 40대이상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60세이상 노년층 취업자는 1백96만6천명으로 96년에 비해 7%나 증가했다.

통계청은 "퇴직 후에도 일을 하려는 노년층이 많은데다 음식.숙박.건설업등에서 임금이 비싼 젊은 근로자 대신 노년층 고용을 늘렸기 때문" 으로 풀이했다.

◇ 부산.대구 실업률이 높다 = 지역별로 보면 섬유.신발등 경공업이 몰려있는 부산.대구 실업률이 3.9%로 가장 높다.

반면 제주도는 실업률이 1.1%로 전국 15개 시.도중 가장 낮았고 충남 (1.3%) 과 경북.경남 (1.7%) 도 실업률이 2%를 밑돌았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