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풀린 M&A]上.M&A 어떻게 볼 것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국제통화기금 (IMF) 의 요구로 기업.인수합병 (M&A) 의 빗장이 보다 활짝 풀리면서 올해부터 외국기업들의 국내기업 사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M&A는 이제 한국기업에게 헤쳐나가야할 불가피한 관문이 됐지만 문제는 우리가 이에대해 너무 모른다는 것이다.

국내전문가들을 통해 M&A의 실체와 국내기업에 미칠 영향, 그리고 활용.방어전략 등을 심층 분석한다.

국제통화기금 (IMF) 구제금융 조건으로 우리 자본시장이 대폭 개방되면서 기업 인수.합병 (M&A) 이 국내 산업.금융계에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아직 초보단계의 국내M&A시장에 외국기업.투자가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동원해 밀려들 경우 주식시장과 업계의 판도를 뒤흔드는 태풍이 몰아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M&A를 마냥 두려워하거나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기업의 M&A활동은 대부분 시너지효과를 통한 가치창조를 위해 이루어진다.

▶대형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달성▶경영과 기술능력의 이전과 보완▶핵심역량에 기초한 관련사업 분야에의 진출▶사업분산을 통한 위험감소▶자본비용의 절감 등이 M&A로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들이다.

경쟁환경의 변화는 M&A를 통한 산업의 구조조정과 기업의 구조개편을 촉진시킨다.

예컨대 한 업종에서 기술혁신이 일어나면 관련업종에 있는 기업들은 이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기존 기업의 인수를 추진하게 되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인수기업이 보유한 자원이 성장산업으로 이전된다.

또 한 업종이 성숙단계에 이르러 경쟁이 심해지면 경영합리화를 위해 동종기업간의 합병이 일어나고 부실기업은 합병을 통하여 퇴출하게 된다.

결국 M&A는 산업 전체로 보면 기업의 전문화나 산업합리화 또는 퇴출의 과정인 셈이다.

특히 적대적 M&A는 기업내부의 기존경영자와 외부의 새로운 경영자들이 경영권을 놓고 다투는 것으로 기업자산은 이 경쟁을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쪽으로 넘어간다.

이처럼 M&A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기업이 최악의 상황에 도달하기 전에 경영권의 이전을 통해 새로운 경영전략과 자원이 투입돼 도산에 따른 자원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적대적 인수를 포함한 M&A활동을 특별히 외국기업에 대해서만 허용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

다만 IMF관리체제하에서 주가폭락과 환율폭등으로 인해 외국인이 헐값에 국내기업을 인수할 경우 국부의 유출을 가져올 수도 있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라면 외자유입의 한 형태인 외국인의 국내기업 인수를 굳이 마다할 필요는 없다.

외국기업의 국내기업 인수는 기술과 경영 노하우의 이전이 수반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 경쟁력있는 외국기업이 국내기업을 인수할 경우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금융등 서비스 산업에서 두드러진다.

물론 외국기업의 국내기업 인수가 때로는 경쟁기업을 도산시키거나 피인수기업의 공장을 폐쇄하여 공급을 축소하는 등의 경쟁제한적 목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문제들은 공정거래법의 엄격한 적용을 통해 상당히 완화될 수 있다.

적대적 기업인수를 외국인에게 허용할 경우 내부자거래.주식파킹 (지분 숨기기).공동보유자 신고규정 위반 등의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불공정행위는 외국인 투자에 대한 감시강화로 해결할 일이지 외국인에 대하여 적대적 M&A를 불허해야할 빌미가 될 수는 없다.

정광선 학장 <중앙대 경영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