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당선자, 인사청문회 조기 도입…주요직 내정자 공개검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는 책임정치 구현을 위해 인사청문회 제도를 도입키로 하고 이를 취임 전 임시국회 입법을 통해 관철시킬 구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金당선자의 이같은 계획이 실현될 경우 새 정부에 참여할 주요직 인사들에 대한 검증작업이 공개리에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회의 핵심 관계자는 21일 "金당선자는 작금의 국가적 위기상황에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현실에 개탄하고 있다" 면서 "책임정치 구현을 위해서라도 인사청문회 제도를 조기에 도입하는 방안을 구상중" 이라고 전했다.

金당선자는 능력위주의 발탁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고 정파와 지역을 초월한 인사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청와대 비서실의 축소 개편과 함께 비서진도 각 분야의 전문가 등으로 충원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원칙에 따라 청와대 수석비서에 기용될 국민회의 인사는 2명 정도로 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측근은 “인사의 최우선 원칙을 '능력' 으로 삼겠다는 金당선자의 의지는 확고하다” 고 전제, "비록 여권 주변에서 실무를 했던 전문가라 할지라도 국가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된다면 과감히 발탁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른바 '가신 (家臣) 그룹' 의 공직 배제 약속도 지킬 것으로 안다” 면서 “대통령 친인척의 정치개입 금지에 대해서는 법제화를 통해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 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金당선자의 모든 집권구상은 오로지 경제 재건에 모아져 있고, 이의 성패는 결국 얼마나 능력있는 인재들을 발굴하느냐에 좌우된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면서 “능력위주의 인사가 철저히 이뤄질 경우 인사를 통한 화해와 화합이라는 새정부의 정치적 과제는 저절로 해결된다는 생각을 金당선자는 갖고 있다” 고 덧붙였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