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대축제]NIE로 찾는 큰별 작은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청소년들에게 '스타' 는 생활이다.

박찬호의 성공담은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준다.

그들이 스타로 찬란히 빛나기까지 겪어야했던 여러가지 어려움을 아는 것만으로도 또다른 인생공부가 아닐까. 스타에 대한 열광을 나무라기만 할게 아니라 '노력해서 얻은 것은 무엇이든 소중하다' 는 점을 새삼 되짚어보는 기회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만약 내가 스타라면' 이란 꿈을 한번쯤 꾸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빌게이츠나 테레사 수녀도 꿈을 가진 사람에겐 스타다.

이제 스타에 대해 환호하며 무작정 따라다니던 수준에서 벗어나자. 진정한 스타란 누구이며 어떻게 떠오르는지 등을 폭넓게 생각해볼 일이다.

나만의 소중한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노라면 이미 스타가 된 자신을 발견할지 누가 아는가.

이 시대의 진정한 스타는?

:오늘 하루, 또는 최근 며칠 사이에 신문에 가장 많이 보도된 인물을 다섯명만 찾아보자. 신문에 자주 보도되는 소위 뉴스 메이커가 바로 스타일까? 자신이 생각하는 최고의 스타, 또 그가 스타로 인정받는 이유를 말해보자. ※교사.학부모께 : 인기 연예인에게 맹목적으로 열광하는 학생들에게 스타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심어주기 위한 활동입니다.

학생들이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면서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자세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서로 각자의 생각을 발표토록 한 뒤 각자 글로 정리해보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나도 스타가 될 수 있을까?

:10년후의 내 모습을 신문에서 오린 낱말.사진.그림으로 표현해보자. 상당히 유명해진 자기 자신이 신문에 어떻게 보도되기를 바라는지 자신에 대한 기사도 써보자. 스타에게 별달아 주기 : 대체로 도전과 자기 투쟁에서 이긴 사람들 가운데서 스타가 탄생한다.

오늘 신문에 보도된 스타들에게는 별을 각각 몇개쯤 달아주면 좋을까. 좋은 의미의 스타들에게는 밝은 별, 나쁜 의미의 스타 (?

) 들에게는 검은 별을 네개에서 한개까지 붙여주자. ※교사.학부모께 : 가치판단을 돕는 활동입니다.

밝은 별과 검은 별 계급장 옆 빈칸에다 그에 해당하는 인물 이름을 적어넣거나 사진을 오려붙이도록 해도 좋습니다.

스타 탄생 : 눈부신 스타는 누가 만들까. 스타 자신? 매니저? 매스컴? 나 자신을 포함한 대중?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가 눈부시게 빛나기까지의 뒷얘기를 기사체로 정리해보자. 스타 점수 매기기 : 스타를 만드는 여러가지 요인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다섯가지만 골라 별 그림의 다섯 모퉁이에 적어넣어 보자 (예 ; 끼, 노래나 춤 솜씨, 생김새, 매니저의 능력 등) .스타의 인기 점수가 1백점이라고 할때 다섯 모퉁이에 적어넣은 인기 요소의 중요도는 각각 몇점 정도를 차지할까. 모두 더한 점수가 1백점이 되도록 배점해보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