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서 유전자 조작 성공 '머리없는 올챙이'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인간복제 기술과 유전자 조작기술을 이용, 인간의 장기를 대량생산해 사용하는 문제를 놓고 윤리논쟁이 일고 있다.

논쟁의 발단은 영국의 선데이타임스가 19일 "발달생물학자인 바스대의 조너선 슬랙 교수가 개구리 배아 (胚芽) 의 유전자를 조작해 원하는 특정부위의 발달을 막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머리없는 올챙이' 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고 발표한데서 비롯했다.

이 신문은 이같은 기술을 인간복제 기술과 접합하면 복제세포에서 필요로 하는 기관만의 성장을 허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발달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해 심장이나 콩팥.간등 특정 인간장기의 대량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일부 과학자들의 의견을 덧붙였다.

슬랙 교수도 이에 맞장구쳐 "개구리와 인간의 유전자는 기능이 비슷하기 때문에 기술적 장벽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앞으로 이를 극복해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고 말했다.

그는 복제된 인간일지라도 완전한 배아에서 장기를 얻는 것은 살인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복제세포의 유전자를 처음부터 조작, 특정장기만의 발육을 유도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선데이타임스는 이 실험자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고 있으며 과학자들 사이에 비판도 크다고 보도했다.

옥스퍼드대의 앤드루 린지 교수는 "특정목적에 이용하기 위해 돌연변이 '인간' 을 만들어 장기이식의 도구로 이용한다는 것은 '과학의 파시즘' 이고 도덕적인 타락" 이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염태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