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은행에 '우회 특융'…성업공사 기금 3조로 부실채권 매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보와 기아사태로 인한 금융질서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제일은행에 정부와 한국은행이 성업공사내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통해 간접지원과 한국은행 특별융자를 통한 직접 지원을 병행하기로 했다.

한은 특융은 이번주중 제일은행이 정부와 한은에 경영정상화 계획서를 제출하는대로 지원 여부를 신중히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강경식 (姜慶植)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16일 이경식 (李經植) 한은총재, 김인호 (金仁浩) 경제수석과의 조찬회동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통한 간접지원은 한은이 시중금리보다 싼 금리로 부실채권정리기금에 융자해주고 이 돈으로 문제은행들의 부실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이다.

정리기금의 재원은▶한은 융자외에▶재정지원▶금융기관 출연▶자체 채권발행등으로 조달된다.

윤증현 (尹增鉉) 재경원 금융정책실장은 이날 "부실채권정리기금 재원을 당초 예정했던 1조5천억원보다 많은 2조~3조원으로 확대할 방침" 이라며 "이 기금에서 형편이 어려운 제일은행 부실채권을 주로 매입하는 형태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기금 재원가운데 한은 융자로 조달되는 규모는 2조원 가량 될 전망이며, 융자는 부실채권정리기금이 설립되는 오는 11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한은 특융과 관련, 尹실장은 "저금리에 의한 직접적인 지원방식인 한은특융은 신중히 검토해 결정할 문제" 라며 "이번주중 제일은행의 경영정상화 계획서의 강도가 높으면 그만큼 한은 특융의 가능성도 높아질 것" 이라고 밝혀 자구노력 선결조건을 분명히 했다.

尹실장은 "한은 특융외에 정부가 제일은행의 증자를 돕는 방안이나 해외차입때 지급보증하는 방안들도 가능성이 모두 열려 있다" 며 "이를 실행하려면 국회동의가 필요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

고현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