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위기가구 보호 발벗고 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울산 동구에 사는 이모(57)씨는 최근 사업실패로 일자리를 잃은 데다 아내가 뇌졸중으로 입원하는 불행이 겹치면서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위기를 맞게 됐다. 하지만 누구에게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몰랐다.

그런 이씨의 처지를 울산시 민생안정지원단이 파악해 공동모금회와 연계해 80만원의 생계비를 지원했고, 전문대를 졸업한 자녀에게는 사회서비스 일자리도 마련해줬다.

민생안정지원단이 이씨의 처지를 알게 된 것은 건강보험료 체납실태 점검 결과였다. 한번도 미룬 적이 없던 건강보험료를 120만원까지 쌓이도록 연속 체납한 사실에 주목, 이씨를 직접 찾아가 처지를 알고 도움의 손길을 펼수 있었던 것.

울산시가 위기가구 보호를 위해 가동하고 있는 민생안정지원단의 손길이 바빠지고 있다.

3개반 34명으로 구성돼 8일부터 본격운영에 들어간 이후 1764건의 위기가정을 발굴했다. 본인이 지원단에 직접 도움의 손길을 내밀거나 제3자가 의뢰한 경우도 1079건이었다.

지원방법은 가장 등 가구의 주소득자가 실직하거나 질병·사고로 수입이 끊어졌을 경우, 가구원 수에 따라 49만~130여만원의 긴급생계비가 지원된다.

이어 어려움의 성격이나 실태에 따라 기초수급 대상자로 선정하거나 일자리 제공, 민간지원단체와의 연결 등의 장기지원 방안을 강구한다.

1월 한달 동안 생계급여·의료급여 등의 긴급지원을 받은 가구가 54건, 각종 수급자 선정 141건, 일자리 등 사회서비스 제공 455건, 차상위 장애수당 등 선정 지원등 타법령에 따른 지원안내 321건, 민간단체를 통한 현금·양곡 지원 1716건 등 도움이 제공됐다.

주 소득원이었던 남편이 교통사고로 장기입원한 송모(47·중구)씨, 법적 부양자인 아들이 행방불명된 김모(74)씨 등도 생계비 지원과 함께 수급대상자 선정 심사과정을 밟고 있다.

임명숙 울산시 복지여성국장은 “경기침체로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실직자, 휴폐업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위기가구 발굴과 지원사업을 강력히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