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改善 大選 좌우할 최대과제-共助체제 강화한 野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굳건한 공조를 과시,정국의 흐름을 야권이주도하는 기회로 활용하겠다는 속셈이다.
양당은 검경(檢警)중립화,방송법 개정등 제도개선이 내년 대선의 명운(命運)을 좌우할 절대절명의 과제로 보고 있다.박상천(朴相千)국민회의 총무,박철언(朴哲彦)자민련 부총재등 양당 당직자들은 한결같이 『이 법이 통과되지 않는한 내년 대선에서 공정한 경쟁의 조건은 보장되지 않는다』고 단언할 정도다.
그러나 야권공조를 통한 강경방침을 밝히고 나선데는 양당이 각각 나름대로 속셈이 다르다.
국민회의는 정국주도권을 장악,제1야당의 존재를 부각시키겠다는계산이다.이양호(李養鎬)비리사건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사정(司正)바람에 묻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 국민회의로서는 실력저지를 해서라도 이목을 집중시켜 정국주 도권을 쥐어야할 필요가 절실하다.
국회 폐회후는 바로 대선정국으로 이어진다.따라서 이번이 야당이 힘을 발휘할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국민회의 내부에서조차 『이번에 정국주도권을 장악하지 못하면 대선까지는 계속 수세(守勢)를 면치 못하게될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는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자민련은 국민회의와의 공조를 「원내공조」「정책공조」로 표현한다.여기에는 사안에 따라 한시적으로 손을 잡는다는 의미가 포함돼 있다.「대선 공조」를 의식해 자민련을 일정한 틀속에 묶어두려는 국민회의의 의도는 경계 대상이 된다.
실제로 자민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입비준 동의안에 대해서는 실력저지도 불사하겠다는 국민회의와는 달리 반대의사만 표시하기로 하는등 상대적으로 유연한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현단계에서 국민회의와의 공조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데는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있다.이정무(李廷武)총무가 이날 『제도개선특위 활동에 예산안뿐 아니라 모든 현안을 연계시키겠다』고 한 것도 이 문제에 대한 자민련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대목이다.
결국 현재의 야당공조 분위기는 최소한 정기국회 회기가 끝나는12월18일까지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하경.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